민주 “검찰, 30년 만에 박종철 열사 부친에 사과...국민주권 실현 계기”
민주 “검찰, 30년 만에 박종철 열사 부친에 사과...국민주권 실현 계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효은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은 87년 6월항쟁의 도화선...대통령 직선제 등 민주화 이뤄”
김효은 민주당 부대변인은 20일 브리핑에서 “30년 전 남영동 대공분실에서 처참한 전기고문과 물고문으로 젊은 생을 마감한 박종철 열사의 부친이 30년 만에 국가의 사과를 받게 되었다”며 “만시지탄”이라고 밝혔다. 사진은 민주열사 박종철 30주기 추모 전시회. ⓒ민주열사박종철기념사업회
김효은 민주당 부대변인은 20일 브리핑에서 “30년 전 남영동 대공분실에서 처참한 전기고문과 물고문으로 젊은 생을 마감한 박종철 열사의 부친이 30년 만에 국가의 사과를 받게 되었다”며 “만시지탄”이라고 밝혔다. 사진은 민주열사 박종철 30주기 추모 전시회. ⓒ민주열사박종철기념사업회

 

[시사포커스 / 문충용 기자] 더불어민주당이 30년 만에 박종철 열사 부친에게 사과한 검찰에 대해 “국민주권의 참뜻을 실현하는 계기가 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효은 민주당 부대변인은 20일 브리핑에서 “30년 전 남영동 대공분실에서 처참한 전기고문과 물고문으로 젊은 생을 마감한 박종철 열사의 부친이 30년 만에 국가의 사과를 받게 되었다”며 “만시지탄”이라고 밝혔다.

김 부대변인은 “원통함과 고통 속에 모진 세월을 견디시며 마지막 기력을 붙들고 계신 부친께 위로가 되었으면 한다”며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은 87년 6월항쟁의 도화선이었고 국민들은 대통령 직선제를 비롯한 민주화를 이뤄냈다. 그 후로도 민주주의를 지키고 발전시키기 위한 많은 희생들이 있었다”고 회고했다.

이어 “30년이 흐른 지금 국민들은 87년 체제의 헌법 개정을 요구하고 있다”며 “기본권과 국민주권은 강화되어야 하고 정부형태는 시대 변화와 국민 요구를 담아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부대변인은 “지난 권위주의 정부 시절 국민 위에 국가가 있다는 잘못된 생각이 공권력의 남용과 인권탄압으로 나타났다”며 “국가공권력에 의한 희생에 대해 국가는 사과해야 한다. 가려진 진실을 드러내고 진심어린 사과를 하는 것으로부터 화해가 시작된다”고 말하며 “사과에 소멸시효는 없다”고 덧붙였다.

한편 문무일 검찰총장은 이날 오후 부산시 수영구 남천동의 한 요양병원으로 박종철 열사의 부친 박정기씨를 찾아가 “무엇보다 먼저 사과 방문이 늦어진 것을 송구스럽게 생각한다”며 “과거의 잘못을 다시는 되풀이 하지 않겠다”고 사과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