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특히, 콘텐츠-SW솔루션-기기 사업자, 소비자 및 정부로 형성된 디지털생태계가 발전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을 위해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
이번 간담회에서 방송통신 융합이 가속화되는 환경에서 국내 영상기술, 디지털콘텐츠 및 솔루션의 글로벌화, 와이브로, UCC(사용자제작콘텐츠) 등 신규서비스의 조기 활성화를 위한 방안이 논의됐다.
정보통신부는 이번 간담회를 계기로 국내 첨단 영상기술의 활용 극대화와 국내 영화의 글로벌화를 위하여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개발한 ‘디지털액터 기술’ 등 국가 개발 R&D를 활용한 ‘실용화 기업’의 설립을 추진하고, 뉴질랜드의 ‘웨타’ 등 세계적 CG(컴퓨터그래픽) 스튜디오와 협력할 수 있는 방안 등을 모색할 예정이다.
간담회 참석자들은 디지털콘텐츠산업의 지속적 성장을 위해서는 글로벌 시장 진출 확대가 필수적이며, 이를 위해서는 이미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는 서비스 및 정보기기 분야와 협력하여 공동으로 세계시장에 진출하는 전략이 효과적이며 국제 표준화 활동 및 콘텐츠의 직접 서비스망을 확대·강화할 필요가 있다는 점에 인식을 같이했다.
정통부는 내년부터 통신사업자, 기기제조사, 솔루션사업자, 콘텐츠제작사가 공동으로 디지털콘텐츠를 개발, 상용화 시범 서비스 및 해외진출을 할 수 있도록 DPP(Digital Pioneer Project)를 통해 지원하기로 했다.
또한, 와이브로, UCC 등 신규 서비스의 조기 활성화를 위해 ‘중소 CP(콘텐츠제공업자) 전용 무선공동포털’에 대한 타당성 검토 및 부적절한 콘텐츠에 대한 필터링 기술 지원 등을 추진할 예정이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디지털콘텐츠산업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 이용자, 산업계, 정부가 새로운 디지털 생태계에 맞는 제도를 조기에 정비하고 운영될 수 있도록 시스템을 체계화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데 인식을 같이 했다.
디지털콘텐츠산업의 체계적 진흥을 위해서는 생산, 유통, 소비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기술, 식별체계, 표준화, 개인정보 보호 등의 공통 보편적 영역에 대해서는 IT기술 및 서비스 정책과 연계한 일관된 진흥정책이 필수적이라는 것에 공감했다.
이번 간담회에는 정보통신부의 노준형 장관을 비롯, 방송통신 융합의 대표적 서비스인 디지털영상 분야의 주요업체인 SBSi의 김영주 이사, 판도라TV 이용연 부사장, 나비픽처스 김성수 사장, MK픽처스 이은 사장과 국내 게임시장을 선도하고 있는 컴투스의 박지영 사장, 조이맥스 전찬웅 사장이 참석하였고, SW솔루션 및 기기업체인 삼성전자 권강현 상무, 포스브로 신순철 부사장, 이노에이스 김종식 사장, HCILab 권철중 사장이 참석하였다. 한국소프트웨어진흥원 유영민 원장,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만재 디지털콘텐츠연구단장, 한국콘텐츠산업연합회 김경선의장 등 유관기관장들도 함께 했다.
정통부는 이번 논의 결과를 내년도 계획에 반영하여 구체화해 나가는 한편, 업계와 지속 협력하여 성과를 가시화해 나갈 방침이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