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돈 검출’ 대진침대 ‘14종’ 추가 확인…‘아르테·그린슬리퍼 등’
‘라돈 검출’ 대진침대 ‘14종’ 추가 확인…‘아르테·그린슬리퍼 등’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사진 / 국무조정실
사진 / 국무조정실

[시사포커스 / 이영진 기자] 대진침대의 기존 7종 매트리스에서 폐암 유발 물질인 라돈이 검출돼 논란이 일고 있는 가운데 14종의 매트리가 추가 확인되며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25일 국무조정실은 원자력안전위원회, 산업통상자원부, 환경부 등 관계부처와 함께 당일 14시 정부서울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대진침대의 매트리스 17종을 추가로 조사한 결과 14종의 매트리스(약 2만5661개)가 안전기준을 초과한 것으로 확인되어 당일 수거·폐기를 위한 행정조치를 시행한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원자력안전위원회는 모나자이트가 사용된 것으로 알려진 대진침대 매트리스 24종 중 ‘생활주변방사선 안전관리법’의 가공제품 안전기준을 초과한 7종 매트리스(약 6만2088개)에 대해서는 이미 행정조치를 취했고 수거가 진행 중이라고 알렸다.

또한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은 지난 8일~23일까지 대진침대 이외 49개 침대 매트리스 제조업체에 대한 현장조사를 실시한 결과 49개 업체 중 모나자이트를 사용한 것으로 신고한 업체는 없었으며 수입업체(1개)로부터 모나자이트를 구입한 66개 구매처에서 납품받지도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다만 6개 업체에서 토르말린, 일라이트, 참숯 및 맥반석 등의 첨가물질을 사용했다고 신고했다고 전했다.

그러나 상기 4개 첨가 물질은 생활방사선법상 규제대상이 아니고 방사선으로 인한 건강상의 위해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생활밀착형 제품인 침대의 특성과 국민 불안을 감안해 정밀조사를 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아울러 원자력안전위원회는 산업통상자원부, 식품의약품안전처와 함께 모나자이트 수입업체(1개)로부터 모나자이트를 구입한 66개 구매처에 대한 1차 조사를 완료한 결과 현재까지 13개 업체가 내수용 가공제품을 제조하거나 판매하는 것으로 파악됐다고 밝혔다.

이 중 1개 업체는 매트리스를 생산하여 전량 대진침대로 납품한 업체로 확인됐으며 ‘목걸이’, ‘팔찌’, ‘전기장판용 부직포’ 등을 생산하는 9개 업체 제품은 라돈으로 인한 내부피폭선량이 관리기준(1 mSv/y)을 넘지 않거나 외부영향 문제가 없는 것으로 분석됐다고 알렸다.

또한 세라믹 등을 생산하는 나머지 3개 업체는 현재 시료를 확보하여 분석·평가 중이며 결과가 나오는데로 신속히 공개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이 외 53개 구매처는 실험·연구, 해외수출 등을 위해 구매한 경우, 구매한 모나자이트를 전량 보관하고 있는 경우, 폐업한 경우 등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으며 현재 기관별 상세 사용 현황에 대해 확인·점검 중에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정부는 이번 사안을 계기로 발견된 생활주변 방사선 안전관리 사각지대를 해소하기 위해 원료물질부터 제품까지 추적·조사할 수 있도록 등록의무자 확대 등 관련법령 개정을 추진하겠다고 알렸다.

사진 / 국무조정실
사진 / 국무조정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