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포커스 / 이영진 기자] 민간 산후조리원 이용요금의 비용격차와 지역별 평균가격 등이 큰 차이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물가감시센터에 따르면 산후조리원 이용요금의 2016년 전국평균은 일반실 234만원, 특실은 304만원이며 특히 서울의 경우 전년대비 일반실이 17만원(5.6%), 특실이 54만원(13.2%) 증가하여 2016년 소비자물가 상승률(1%)보다 훨씬 큰 증가폭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역별 평균가격 차이가 가장 큰 곳은 서울과 전남으로 2016년 기준으로 무려 168만원의 이용가격의 차이를 보였으며 전년대비 그 격차가 더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는 민간 산후조리원의 이용가격과 원가에 대한 정보는 부족한 상황이며 재무제표가 공시되는 산후조리원의 수도 매우 적다며 비외감대상 산후조리원들의 경우 자산규모는 외감대상인 산후조리원에 비해 작은 편이나 자산규모에 비해 매출은 크게 발생하고 있고 영업이익 및 순이익률 또한 꾸준히 발생하고 있다고 설명하면서 적은 자본으로 산후조리원을 운영하면서 매출은 크게 발생하고 있어 건강한 산모와 건강한 아기를 위한 안전한 운영 및 관리가 되고 있는지에 대해 정기적인 감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아울러 전국적으로 민간 산후조리원의 수는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서울과 경기 지역을 중심으로 편중 현상을 보이고 있다며 2011년~2016년까지 서울과 경기 지역의 산후조리원의 수는 전국 산후조리원 수의 약 54~58% 정도를 차지하고 있다고 설명하며 지역별 편중 현상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한편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는 저출산 문제와 관련된 대부분의 요인들은 경제적인 부분과 관련되어 있는데 특히 최근에는 산후조리원의 이용에 드는 비용이 가계에 막대한 부담을 주고 있지만 정작 정부는 특별한 가이드라인 없이 단지 시장 논리에 맡기고 있는 상황이라 출산을 계획하고 있는 모든 산모들에게 큰 경제력 부담을 갖게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공공 산후 조리원 정책이 저출산 문제의 핵심적 해결책으로 떠오른 지금 이미 성행하고 있는 민간 산후조리원의 고비용, 비용 격차, 지역적 쏠림 현상문제 등에 대해서도 제도적으로 관리·기준을 강화하고 시장 질서를 정리하여 모든 산모들과 예비 산모들이 출산에 대해 실질적으로 혜택을 누릴 수 있는 환경이 갖추어져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