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포커스 / 오훈 기자] 김동철 바른미래당 비상대책위원장이 탈원전 정책을 고수하고 있는 문재인 정부에 대해 “여야 및 전문가 집단, 이해 관계자 등이 함께 하는 사회적 기구를 구성해 탈원전 정책에 대한 재검토를 논의하자”고 제안했다.](/news/photo/201807/188391_221452_524.jpg)
[시사포커스 / 김민규 기자] 김동철 바른미래당 비상대책위원장이 11일 탈원전 정책을 고수하고 있는 문재인 정부에 대해 “여야 및 전문가 집단, 이해 관계자 등이 함께 하는 사회적 기구를 구성해 탈원전 정책에 대한 재검토를 논의하자”고 제안했다.
김 위원장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비대위 회의에서 “바른미래당은 어제 경북 영덕의 천지원전 현장을 방문해 천지 1, 2호기 건설 중단으로 인한 막대한 주민피해를 확인하고 왔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이어 “스웨덴과 프랑스, 일본, 미국 등 이미 탈원전을 선언했던 주요 선진국들도 최근 재검토에 들어갔다”며 “우리 정부도 이제는 탈원전 속도를 포함한 국가 에너지정책을 심각하게 재검토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특히 김 위원장은 원자력발전과 에너지 정책 방향 관련해 지난달 26~28일 전국 100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를 들어 “최근 여론조사를 보면 지난해 정부가 탈원전을 결정했을 때와는 달리 원전 확대 및 유지 의견이 10%포인트나 높아졌고 축소 의견은 감소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그는 “그동안 문재인 정부는 그토록 여론조사를 중시하며 국가정책마저 여론조사를 보며 결정했는데 최근 여론의 변화를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한다”며 “앞서 그했던 것처럼 빈약한 준비와 공론화로 좌충우돌 할 게 아니라 100년을 내다보며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다만 김 위원장이 이날 인용한 해당 여론조사 결과(95% 신뢰수준±3.1%포인트)에 따르면 작년 8~9월 신고리 5·6호기 공론화위원회가 전국 성인 2만여 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1차 조사 결과(확대 13%, 축소 39%, 현행 수준 유지 31%)와 비교했을 때 축소 의견이 7%포인트 줄어든 건 사실이나 현행 수준 유지에서만 9%포인트 급상승했을 뿐 확대 의견은 고작 1%포인트 늘어난 데 불과했고, 현 정부 에너지 정책 방향에 대해서도 찬성은 72%인데 반해 반대는 15%에 그친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