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원식, "세월호·가습기참사 조사 특조위 진상규명 나아가"
이정미, 정부 가습기 피해 구제범위 협소함·SK케미컬 비판해
장완익 특조위원장, "30만 피해자, 확인된 사망자만 1341명"

[시사포커스 / 현지용 기자] 가습기살균제 참사로 인해 1300여 명이 사망하는 등 가습기살균제 사태로 인한 사회적 파장이 일어난지 수년이 지난 가운데, 제 7회 2018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대회가 31일 오후 국회 헌정기념관 대강당에서 열렸다. 이날 대회에는 김은경 환경부장관, 우원식 前 원내대표, 김관영 바른미래당 원내대표, 김상아 바른미래당 의원, 이정미 정의당 대표 외 송기호 민변 변호사, 김기태 가습기살균참사피해자대표, 장완익 사회적참사특조위원장 등 인사들을 비롯해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 및 유가족이 자리에 함께했다.
이날 가습기살균제피해자단체협의회는 성명을 내며 '피해자 수가 50만 명에 이르는 화학독성나노물질의 환경재난 참사를 단순 사고 사건으로 보는 정부는 각성할 것과, 참사초기 말단기관지중심 폐섬유화 외 타 관련질환은 가습기 살균제와 관련성이 없다고 판단해 피해규모를 축소한 것에 대해 정부가 결과적으로 대기업·가해기업 편에 섰다'고 비판했다.
이어 가습기 살균제로 인한 건강피해를 폐 관련 질환을 넘어 각종 암, 태아 기형 등에 대한 질환도 인정 할 것을 촉구했다. 더불어 '검찰이 옥시 수사를 5년이나 끌며 증거인멸을 도우고 김앤장 로펌이 이를 은폐하는데 도왔다'고 주장하며 옥시 영국 본사와 SK케미컬, 애경에 대한 특검수사를 요청하고 나섰다.
김은경 환경부장관은 "어린이, 임산부 등 최악의 환경비극에도 대응이 느렸고 대처가 소극적이었다"며 "발생원인과 대응과정에 우리나라가 얼마나 환경안전이 취약한지 알려졌다. 정부는 피해자구제특별법을 통해 피해구제 진행상황을 이뤄가고 있으므로 화학물질 안전관리를 강화해 나갈 것"이라 밝혔다.
그러나 김 장관이 발언한 후 대강당 좌석에서 일부 피해자 수명이 언성을 높이며 "장관이 이러한 일이 있었음에도 (공식적 자리에는) 한번만 나왔다"며 목소리를 높여 장내는 일순간 술렁이기도 했다
우원식 더불어민주당 前 원내대표는 "2017년부터 세월호·가습기참사 조사 특조위가 진상규명 길을 향해 나아가고 있다. 더불어 가습기살균제 특별법도 통과돼 이 모든 과정을 묵묵히 견뎌내고 끌어가신 피해자와 유가족께 위로의 말씀을 드린다"며 "가습기살균제 피해가 알려진지 7년이나 피해는 현재 진행중이며 접수된 피해자만 6000명에 확인된 사망자만 1300명 넘는다"고 탄식했다.
이정미 정의당 대표는 "사람이 흡입하면 폐가 굳어 죽을 정도임에도 왜 다른 부분에는 피해가 안 입을 것이라 피해대상을 좁게 해석하고 있다"며 정부의 가습기 피해 구제범위의 협소함을 지적했다. 이 대표는 "원료물질 생산기업인 SK케미컬이 왜 검찰조사를 안하는지 답답하다. 이 두가지 문제가 특조위에서 꼭 규명해 풀길 바란다"고 말했다.
장완익 사회적참사특조위원장은 "1994년 가습기 살균제가 '세균 뿜는 가습기'란 공포마게팅 기반해 등장한 후 가습기 피해자가 30만 명 추산됨에도 6000명 가량만 피해 신고를 해 확인된 사망자만 1341명에 이른다"며 "'안방의 세월호'인 최대 참사가 기업의 탐욕적 이윤 추구로 드러난 실상 이후에도 소극적 태도를 보인다. 이것이 바로 참사"라 비판했다. 장 위원장은 특조위 수사 의지를 밝히며 "성역없는 수사로 다시는 이러한 참사가 이뤄지지 않도록 진상규명에 앞설 것"이라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