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용만 '기업의 역할' 강조, "역동적으로 일할 수 있게"
이해식 "'광주형 일자리' 강조...잠재력 키우는 입법 필요해"

[시사포커스 / 현지용 기자] 박용만 회장은 이해찬 민주당 대표를 만나며 '기업의 역할'을 강조하고 "기업이 더 역동적으로 일할 수 있게 해달라"고 말했다.
6일 오후 국회 민주당 대표회의실에서 박 대표의 예방에 이 대표는 환영의 인사를 전하며 "올해 남북경제가 특사들이 다녀와서 희망적이기는 하다. 전반적으로는 체감경제가 어려운 실정이어서 당에게도 여러 가지 책임감이 많이 느껴진다"고 답했다.
이 대표는 "경제계에서도 규제개혁이라든가 이런 부분에 대해서 요구가 많고, 당정도 그렇고 필요한 규제와 필요 없는 규제, 특히 관료들의 과거로부터 내려오는 관행으로부터의 규제는 과감히 풀어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아마 이번 정기국회에서 상당히 많은 부분들을 개선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저희와 많이 소통하고 규제도 많이 풀어나갔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박 회장은 "'기업의 역할'이라는 말씀을 먼저 드리고 싶다. 기업에 대해 일부 우려하시는 바나 기업을 바라보시는 시각에 대해 취지는 잘 알고 있으나 대다수 성실한 기업으로 봐 주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박 회장은 "우리나라를 보면 앞으로 해야할 일 굉장히 많다고 생각한다. 당면한 문제로 복지는 상당히 확충해야하고, 소득양극화 나날히 심각해지고 있다. 미래에 대한 투자는 상당히 미흡하고 저출산·고령화 등 선진국화에 대한 대비도 아직도 미흡한 상황"이라며 " "이 모든 국가를 위한 일에 재원이 필요한데 재원조달에 기업의 역할을 부정할 수는 없다. 기업들이 더 역동적으로 일할 수 있게 도와주십사 말씀드린다"고 밝혔다.
이어 "우리나라 경제를 바라볼 때 제일 걱정되는 것 중 하나는 장기적인 약화추세에 있다는 점이다. 주력산업의 경쟁력이 나날이 약해져서 중국은 이미 우리를 앞서 추월해야 하는 경쟁자가 됐다"며 "조선사업은 외국사람들이 우리나라 사람을 보면 '그렇게 일해서 버틸 수 있겠냐'고 말할 정도로 근면하게 일하는데 살아가기는 아직도 팍팍한 구조"라고 설명했다.
박 회장은 "이런 경제 구조를 바라보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큰 물꼬를 트는 노력을 해주시길 바란다. 기업의 활력을 불어넣는 법안을 만들어 주시고 경쟁력을 약화시키거나 새로운 일을 착수하는데 제한이 되는 것은 들어내 주시길 바란다"며 "의회에서 법을 만들어 주시면 그것은 몇십년, 몇백년 가는데, 오늘을 바라보면 역시 지금까지 그동안 만든 법과 제도에 의해 정책이 만들어진다. 오늘의 관점에서 미래를 바라보면 대단히 미흡한 것이 사실이다. 큰 그림에서 장기적인 흐름을 바꾼다는 생각으로 대승적 결론을 내주시길 바란다"고 밝혔다.
비공개 논의 이후 이해식 민주당 대변인은 취재진과의 백브리핑에서 "우리나라 성장률이 3% 된다 하나, 반도체 등 이런 것들에 편중돼 있어 반도체 외 다른 분야에서는 상당히 어렵다"며 "국회에서 입법노력을 계속해 경제적인 잠재력을 키울 수 있는 입법조치가 필요하다고 말씀하셨다"고 전했다.
이 대변인은 "특히 '광주형 일자리'를 강조하셨다. 광주형 일자리는 기존 임금을 일반 자동차 공장의 50% 정도로 하되, 교육·주거 등 보육을 광주시가 제공해 가처분 소득을 늘려주는 광주형 일자리를 이번에 한번 잘 만들고, 그걸 잘 만들어 전국적으로 확산해 나가는 계기를 만들겠다고 말씀하셨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