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포커스 / 김민규 기자] 정동영 민주평화당 대표가 18일 “비핵화 국면이 제재 완화가 되면 먼저 한국 기업이 투자해야 다른 나라 기업도 유치할 수 있지 한국 기업이 들어가지 않는 한 (북한의) 경제개발구역 무용지물이 될 수밖에 없다”며 경협 필요성을 역설했다.
정 대표는 이날 오전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와의 인터뷰에서 “김정은 위원장 입장에서 지금 방북단 가운데 가장 만나고 싶은 사람이 누구겠나? 경제인들일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이어 “제일 중요한 게 지금 정치가 분열되어 있는 거고 아직도 낡은 ‘퍼주기’ 프레임, 들러리 이런 수준에 머물러 있는 게 안타깝다”며 “미국의 유수한 금융기관들은 한국 경제가 남쪽의 기술과 자본, 북쪽의 토지와 광물 자원, 노동력이 결합하게 되면 2030년대부터는 영국, 프랑스, 독일을 차례차례 추월할 거란 이런 밝은 전망을 내놨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정 대표는 “제가 2005년도에 아버지 김정일 위원장을 만났을 때도 김정일 위원장이 삼성, 현대 같은 대기업 그룹에 대해서 대단히 관심이 많았다”며 “이제 ‘퍼주기’ 이런 표현이 아니라, 우리 앞에 놓여 있는 두 갈래길. 분단과 대결과 갈등의 길을 지속할 거냐, 아니면 새로운 미래를 열어젖힐 것이냐라는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아울러 그는 이번 남북정상회담 전망과 관련해선 “미국이 원하는 비핵화 조치 그리고 북한이 원하는 종전 선언, 이 사이에서 우리가 중개인 또는 중재인, 촉진자의 역할로서 이번 정상 회담을 하게 되는 것”이라며 “완전한 비핵화란 말을 뒷받침할 수 있는 조치 내용, 이런 것에 대해 김 위원장이 직접 자신의 표현으로 공동 발표해서 얘기하면 최상이고 이걸 문재인 대통령이 전해도 아마 2차 북미 정상 회담의 다리를 놓는 역할을 할 것”이라고 관측했다.
한편 정 대표는 자신의 이번 방북 목표에 대해선 “남북 간에 국회 회담을 성사시키는 것이 이번 방북의 저희들로서는 제일 큰 목표”라며 “남북 관계는 행정부 또는 정상 회담만이 아니라 전면적인 교류 협력이 펼쳐져야 하는 거고 남북 국회 회담이 열린 적은 없다. 초당적인 협력이란 것은 이런 때 하는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