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동영 “이해찬, 연동형 비례제 곤란하다 해…문 대통령 언급 필요”
정동영 “이해찬, 연동형 비례제 곤란하다 해…문 대통령 언급 필요”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민주당, 국회의원 몇 석 더 얻으려고 반대하는 건 하수정치”
정동영 민주평화당 대표가 발언하고 있는 모습. 사진 / 오훈 기자
정동영 민주평화당 대표가 발언하고 있는 모습. 사진 / 오훈 기자

[시사포커스 / 김민규 기자] 정동영 민주평화당 대표가 23일 연동형 비례제 도입에 미온적인 이해찬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태도를 꼬집어 “대통령 다짐과 180도 다른 얘기가 여당 대표 입에서 나오는데 문재인 대통령의 언급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청와대에 입장표명을 촉구했다.

정 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국회의원-상임고문 연석회의에 참석해 “(이해찬 대표는) 제1당은 차지할 의석을 지역구 당선자로 채우기 때문에 비례대표를 갖기 어려워서 연동형 비례대표제 도입이 곤란하다고 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이어 “지난 지방선거 다음날 문 대통령은 선거결과에 자만하거나 안일해지지 않도록 각별히 경계하겠다고 말했다. 그런데 유감스럽게도 민주당은 자만, 교만, 거만, 오만 등 4형제 늪에 빠졌다”며 “내후년 총선에서 당연히 제1당 되는 걸 전제하는 여당 대표”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정 대표는 “입법부는 주권자 52%가 사표, 사장되는 대의제를 70년간 해오고 있다. 국회의원 몇 석 더 얻으려고 당리당략 차원에서 반대하는 것은 좁쌀정치, 하수정치”라며 “20년 전 최소의 개혁이 수평적 정권교체였듯이 지금은 선거제 개혁”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한 발 더 나아가 그는 “어제 의총을 통해 헌법에 따라 공정한 재판을 받을 권리와 사법부 독립을 파괴한 고위 법관들에 대한 탄핵을 우리 당 당론으로 결정했는데 그 조건으로 선거제 개혁을 내걸었다”며 “탄핵하려면 국회도 스스로 개혁에 나서야 한다”고 사법농단 법관 탄핵 협조를 들어 거듭 여당을 압박했다.

이에 그치지 않고 정 대표는 “여당은 지금 대통령이 말씀하지만 속으로는 그렇지 않을 거란 기막힌 이중태도를 보이고 있다”며 “국민에 대한 최선의 봉사가 무엇인지, 당리당략에 빠져 좁쌀정치로 전락하지 않기를 간절히 바란다”고 호소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