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른미래·평화당, 한국당 나경원 연설 내용에 일부 온도차
바른미래·평화당, 한국당 나경원 연설 내용에 일부 온도차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바른미래 “노사관계 재정립 공감”…평화당 “1% 기득권 맞춤형 연설일 뿐”
김수민 바른미래당 원내대변인(좌)과 박주현 민주평화당 수석대변인(우)의 모습. ⓒ포토포커스DB
김수민 바른미래당 원내대변인(좌)과 박주현 민주평화당 수석대변인(우)의 모습. ⓒ포토포커스DB

[시사포커스 / 김민규 기자] 바른미래당과 민주평화당이 4일 자유한국당 나경원 원내대표의 교섭단체 대표 연설 중 일부분에 있어선 제각기 온도차 있는 반응을 보였다.

앞서 나 원내대표는 이날 교섭단체 연설에서 “근로기준의 시대에서 계약자유의 시대로 가야 한다. 국민들에게는 마음껏 일할 자유를, 우리 산업에는 유연한 노동 시장을 보장해야 한다”며 “일할권리보장법으로 주52시간 피해를 최소화하고, 쪼개기알바방지법으로 주휴수당 부작용을 막겠다”고 공언한 데 이어 “파업 기간 다른 근로자를 고용할 수 있도록 파업 시 대체근로 허용을 추진해 반드시 불균형한 노사관계를 바로잡겠다. 귀족노조가 아닌 권익노조가 되도록 한국당이 노동개혁을 이끌겠다”고 천명한 바 있다.

이와 관련해 바른미래당의 김수민 원내대변인은 이날 논평을 통해 “바른미래당은 원만한 노사관계를 재정립하고 국가의 일방적 주도 경제에서 탈피해야 한다는 것에 공감한다”며 “오늘 한국당이 우리 경제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심도 있는 지적을 한 만큼 남은 20대 국회가 대한민국 경제를 위해 일하는 국회를 만들어갈 수 있다는 여지를 남겼다”고 긍정적 반응을 보였다.

그러면서 김 대변인은 “앞으로 당리당략이 아니라 서민경제를 위한 한국당의 노력과 분발을 촉구한다”며 “제1야당으로서 최소한의 책무와 책임을 갖고 일하는 국회에 적극 협조해 줄 것을 당부한다”고 강조했다.

반면 민주평화당에선 같은 날 박주현 수석대변인 논평을 통해 “1%의 최상위 기득권층 맞춤형 연설일 뿐 대안 없는 과거로의 회귀 선언에 불과하다”며 “그저 시장의 자유, 남북대결, 복지 축소 등 양극화된 승자독식의 경제사회를 더더욱 악화시키는 퇴행적 구호만을 외치고 있다”고 나 원내대표의 연설내용에 혹평을 쏟아냈다.

특히 박 대변인은 “9년간의 보수정권을 처참한 실패로 끝내고 그 후로도 어떤 변화도 보여주지 못하는 한국당이 당당하게 할 수 있는 비판은 없어 보인다”며 “나 원내대표가 문재인 정부의 실정을 조목조목 따졌지만 문 정부의 잘못들을 퇴행적인 방향에서 비판하고 있을 뿐 혁신적이고 개혁적인 방향에서의 비판과 대안 제시는 없었다”고 일침을 가했다.

다만 국회 정상화 등 정치 부문에 있어선 경제 측면과 달리 바른미래당과 평화당 모두 한국당에 비슷한 목소리를 냈는데, 김 대변인은 “긴 세월 동안의 국회 파행에 대한 일말의 미안함도 찾아볼 수 없었던 것은 유감”이라며 “한국당은 반성이 없다. 한국당의 오만함에 대한 사과가 먼저였어야 했다”고 꼬집었고, 박 대변인도 “한국당이 5당간 합의를 버젓이 깨뜨린 것이 패스트트랙으로 이어졌다”며 “나 원내대표는 정치가 실종되었다면서 선거법 개정안이 패스트트랙 올려진 것을 비판하고 있는데 정치실종의 1차 책임자는 한국당”이라고 직격탄을 날렸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