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제원 “자사고·특목고 폐지 환영…차별 없는 교육 진행해야”
장제원 “자사고·특목고 폐지 환영…차별 없는 교육 진행해야”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당 원내지도부와 입장차 드러나…하향평준화 우려는 표명
장제원 자유한국당 의원(좌)과 유은혜 교육부장관 겸 사회부총리. 사진 / 오훈 기자
장제원 자유한국당 의원(좌)과 유은혜 교육부장관 겸 사회부총리. 사진 / 오훈 기자

[시사포커스 / 김민규 기자] 장제원 자유한국당 의원이 8일 자립형사립고등학교와 외국어고등학교 등 특목고를 모두 일반고로 전환하겠다는 정부 발표에 대해 “자사고 및 특목고 폐지를 환영한다”며 한 목소리를 냈다.

장 의원은 이날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비경제부처 부별심사에서 교육부 정책이 오락가락하고 있다고 정부를 비판하면서도 “고등학교까지 국가가 책임지고 차별이 없는 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해야 된다”며 이같은 입장을 내놨다.

특히 같은 당 나경원 원내대표가 앞서 이날 오전 원내대책회의에서 자사고·특목고 폐지에 대해 “국민을 붕어, 가재, 개구리로 가둬놓겠다는 것인가. 8학군 성역화 정책이 될 것”이라며 “정부가 자사고, 특목고의 일반고 전환을 국회의 입법 절차를 생략할 수 있는 시행령 개정으로 밀어붙이는데 자사고·특목고 폐지에 대한 헌법소원을 검토하겠다”고 반대 입장을 분명히 한 바 있어 장 의원은 이와 분명한 온도차를 드러낸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다만 장 의원도 “문제는 특목고 폐지에 따른 부작용을 어떻게 할 것인가. 하향평준화가 되는 것은 아닌가”라며 “일반고 뿐 아니라 교육 전체가 황폐화될 수 있기 때문에 굉장히 효과적이고 전략적으로 해야 한다”고 일부 우려를 드러내기도 했다.

이 때문에 유은혜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은 이 자리에서 “일반고를 천편일률적으로 만드는 게 아니라 학교마다 외국어, 과학 등 특수화 된 학교로 개편하면 된다. 일부 학교는 이미 그렇게 하고 있다”며 “일반고로 바꾸면서도 명칭은 외국어고로 하고 외국어 특수교육 실시, 학점제 운영 계획도 있다”고 장 의원에게 설명하기도 했다.

한편 정부는 ‘고교서열화 해소방안’으로 외국어고(외고), 국제고, 자율형사립고(자사고) 등 3개 고등학교 유형을 완전히 없애겠다고 발표하면서 올해 말까지 초·중등교육법 시행령을 개정해 고교학점제가 도입되는 2025년 3월부터 자사고와 외국어고, 국제고를 일반고로 전환하고 전국 단위로 학생을 선발하는 일반고(49곳)의 모집 특례도 폐지하겠다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