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포커스 / 임솔 기자] IPTV 가입자가 꾸준히 늘며 유료방송 점유율을 공고히 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방송법 제8조, IPTV법 제13조에 따라, 종합유선방송(이하 SO), 위성방송, 인터넷멀티미디어방송(이하 IPTV)의 2019년 상반기 가입자 수 조사·검증 및 시장점유율 산정 결과를 확정해 발표했다.
2019년 상반기 기준 유료방송 가입자 수는 3303만4309명(6개월 평균)으로 집계돼 2018년 하반기 대비 54만명이 증가했다.
사업자별로 살펴보면 KT 708만1177명(점유율 21.44%), SK브로드밴드 485만5775명(14.70%), LG유플러스 411만187명(12.44%), CJ헬로 405만5865명(12.28%), KT스카이라이프 326만1285명(9.87%) 순으로 집계됐으며, IPTV 3사의 가입자 수 및 점유율은 꾸준히 증가해 2015년 하반기 가입자 수 조사·검증을 시행한 이후 처음으로 1~3위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KT와 KT스카이라이프를 합산한 가입자 수는 지난 2018년 하반기(1010만명)대비 24만명이 증가한 1034만명으로, 유료방송 시장에서 31.31%(시장점유율 0.24%p 증가)의 시장점유율을 차지했다.
이번 2019년 상반기 가입자 수 및 시장점유율의 합산규제 일몰전후 시장점유율을 비교해보면 사업자별 증가폭은 이전과 유사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시장점유율 합산규제는 특정 유료방송 사업자(SO, 위성방송, IPTV)는 특수관계자인 타 유료방송 사업자를 합산해 전체 유료방송 가입자 수의 3분의 1을 초과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도록 제한한 규정으로, 3년간 한시적으로 운영됐으며 지난해 6월 27일 일몰됐다.
한편 2019년 상반기 가입자 수는 2018년 하반기보다 54만명 정도 증가했으며, 가입자 증가폭은 소폭(2%) 증가했으나, 2015년 하반기 이후 매 반기별 80만명 이상 꾸준히 증가하던 가입자 수는 2018년 상반기부터 감소해 약 50만명 대를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매체별 6개월간 평균 가입자 수는 IPTV 1604만7139명(48.58%), SO 1372만5885명(41.55%), 위성방송 326만1285명(9.87%)순으로 집계됐다.
특히 월별 가입자 수 동향을 보면 2017년 11월 IPTV 가입자 수가 SO 가입자 수를 앞선 이후, 전체유료방송 시장에서 IPTV와 SO간 가입자 수 격차는 2019년 6월 말 기준 약 268만명으로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가입자 유형별로는 개별가입자 1649만3284명(점유율 49.93%), 복수가입자 1396만9076명(42.29%), 단체가입자 257만1949명(7.79%) 순으로 집계됐다.
이번 가입자 수 산정 시, 관련 규정에 따라 위성방송 수신만 가능한 예외지역 가입자 15만6000명 및 공동수신설비 유지보수 계약자 35만8000명은 가입자 수로 포함하지 않았다.
또한 KT와 KT스카이라이프의 방송서비스가 단일 셋톱박스를 통해 제공되는 OTS(올레TV스카이라이프)상품의 가입자 164만명은 중복 산정을 방지하기 위해KT 79만4000명, KT스카이라이프 84만2000명으로 나누어 산정했다.
전체 OTS 가입자 중 실시간방송을 KT스카이라이프로부터만 제공받는 5만명은 KT스카이라이프 가입자로 산정하고 KT와 KT스카이라이프의 실시간방송을 모두 제공받는 159만명은 각 사업자에 절반씩 산정했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이번 산정·검증 결과는 위성방송 수신만 가능한 예외지역의 가입자는 제외하는 등 시장점유율 규제 목적에 따라 산출된 결과”라며 “실제 유료방송을 시청하는 총 가입자 수와는 차이가 있어 유료방송 사업자가 가입자 규모를 기반으로 계약 등을 체결할 때 활용하는 가입자 수와는 상이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