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동불편자-인지장애 등...의사가 직접 왕진한다 '시범운영'
거동불편자-인지장애 등...의사가 직접 왕진한다 '시범운영'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금일부터 일차의료 왕진 시범사업 시행
사진은 기사내용과 직접적인 관련없는 자료화면 / ⓒ시사포커스DB
사진은 기사내용과 직접적인 관련없는 자료화면 / ⓒ시사포커스DB

[시사포커스 / 이청원 기자] 거동불편자 의료접근성 개선을 위해 의사가 환자를 찾아가는 왕진 시범사업이 시행된다.

27일 보건복지부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일차의료 왕진 수가 시범사업’에 참여 의료기관 모집을 완료했으나 이날부터 왕진 시범사업이 시행된다고 밝혔다.

‘일차의료 왕진 수가 시범사업’에는 총 348개 의원이 참여하는데 지역별로는 서울(107개), 경기(92개)가 가장 많았고, 인천(7개), 전남(7개), 경북(4개), 강원(3개), 울산(2개) 순이다.

진료과목별로 일반의(52.3%)와 내과(17.5%), 가정의학과(8.3%), 이비인후과(5.5%), 외과(3.4%)의 비중이 높았다.

이에 따라 앞으로 거동이 불편한 환자는 사업 참여 의원에 왕진을 요청할 수 있으며, 왕진료 시범 수가와 해당 의료행위 비용에 대해 100분의 30을 부담한다.

즉 왕진 구분에 따라 환자는 약 2만원에서 3만원 수준의 자기부담금만 지불하면 된다.

여기서 거동불편 환자는 마비(하지•사지마비•편마비 등), 수술 직후, 말기 질환, 의료기기 등 부착(인공호흡기 등), 신경계 퇴행성 질환, 욕창 및 궤양, 정신과적 질환, 인지장애 등에 해당한다.

더불어 왕진 시범사업에서 참여기관은 일주일에 의사 1인당 왕진료를 15회만 산정할 수 있으며, 동일건물 또는 동일세대에 방문하는 경우 왕진료의 일부만 산정할 수 있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