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포커스 / 김민규 기자] 여야가 10일 미래통합당이 제안했던 상임위원회 위원 정수 규칙 개정 안건을 본회의에서 반대 없이 가결 처리했다.
여야는 이날 오후 21대 국회(임시회) 제3차 본회의를 열고 더불어민주당 소속 김영진 국회상임위원회 위원 정수에 관한 규칙 개정 특별위원회 위원장의 제안 설명 뒤 표결을 진행해 재석 274인 중 찬성 268인, 반대 0인, 기권 6인으로 97.81% 찬성율로 국회상임위원회 위원정수에 관한 규칙 일부개정규칙안을 통과시켰다.
이에 박병석 국회의장은 “여야가 원만한 합의로 의결하게 돼 감사드린다”며 “오늘은 6.10 민주항쟁 기념일이다. 헌법을 준수하고 국민을 우선으로 국회의원 직무를 수행하겠다(는 입장을 갖길 바란다)”고 당부한 뒤 산회를 선포했다.
앞서 민주당과 미래통합당은 이날 오전 ‘국회 상임위원회 위원 정수에 관한 규칙’ 개정 특별위원회 회의를 열고 전날 양당이 합의한 상임위원 정수 조정안을 가결했는데, 양당 원내수석부대표는 코로나19 대응을 위해 보건복지위원회 정수는 2명 늘려 기존 22명에서 24명으로,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정수는 1명 늘려 30명으로 정하는 반면 문화체육관광위원회와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외교통일위원회 정수는 각각 16명, 20명, 21명으로 모두 1명씩 감소시키기로 합의한 바 있다.
이 같은 내용의 개정안이 결국 본회의 문턱을 넘으면서 원 구성 문제에 일부 접점을 찾은 듯 보이지만 오히려 야당에 대한 여당의 압박 강도는 한층 더 거세지고 있는데, 앞서 이날 오전 최고위원회의에서 이해찬 대표는 “오는 12일 상임위 구성을 완료하겠다. 통합당이 시간을 끌면서 정상적이고 합법적인 국회 개원을 방해한다면 민주당으로서는 단독으로라도 국회를 개원할 수밖에 없다”고 통합당을 압박했으며 김태년 원내대표도 “원 구성 지연 꼼수를 절대 받아들이지 않겠다. 야당도 상임위원 명단을 제출하는 일만 남았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반면 통합당에선 상임위원 배정 명단을 12일까지 제출할 수 없다는 입장을 내비쳤는데, 민주당 원내수석과 함께 일단 협상은 이어가겠지만 양당 간 갈등이 첨예한 만큼 오는 12일 본회의에서 충돌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