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헌 금감원장 “라임 外 부실펀드도 100% 배상? 긍정적이지 않다”
윤석헌 금감원장 “라임 外 부실펀드도 100% 배상? 긍정적이지 않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분조위 수락 여부는 은행이 결정할 일"
윤석헌 금융감독원장. ⓒ시사포커스DB
윤석헌 금융감독원장. ⓒ시사포커스DB

[시사포커스 / 임솔 기자] 윤석헌 금융감독원장이 디스커버리펀드 등 환매가 중단된 부실 사모펀드에 가입한 투자자들은 전액 배상을 받기는 어려울 거라는 뜻을 내비쳤다.

윤 원장은 17일 경찰청에서 열린 ‘금융범죄 근절을 위한 업무협약식’을 마친 뒤 기자들과 만나 라임을 제외한 디스커버리 펀드 등 다른 펀드도 100% 배상이 적용되느냐는 질문에 “지금 검토 중인데 그렇게 긍정적이진 않다”고 답했다.

앞서 지난 1일 금감원 분쟁조정위원회는 2018년 11월 이후 판매된 라임 무역금융펀드 투자원금 전액을 반환하라는 결정을 내렸다. 금융투자상품 분쟁조정 사례 중 최초로 계약을 취소하고 펀드 판매계약의 상대방인 판매사가 투자원금 전액을 반환하도록 결정한 것이다. 금감원은 이후 7일 우리은행과 하나은행 등 판매사에 이를 통지했다.

판매사들이 라임 펀드 100% 배상 결정을 수용할지 여부에 대한 질문에 윤 원장은 “은행들이 결정할 일”이라며 “지금 뭐라고 이야기하기는 어렵고 우선 기다려 볼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지난해 12월 금감원 분조위는 신한·우리·하나·산업·대구·씨티은행 등에 대해 불완전판매에 따른 손해배상책임이 인정된다고 판단, 일성하이스코 포함한 키코 피해 4개 업체에 대해 손실액 15~41%를 배상하라고 권고한 바 있다.

그러나 우리은행을 제외한 신한은행과 하나은행, DGB대구은행은 금감원의 키코 분쟁조정안 수락 여부에 대한 입장 회신 기한의 재연장을 요청했다. 산업은행과 씨티은행은 지난 3월 금감원의 권고안 수용을 거부했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