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포커스 / 이청원 기자] 정세균 총리는 '코로나19 확진자가 다소 감소하는 모습이지만, 확실한 안정세로 접어들지 못하고 있다'고 했다.
4일 정세균 총리는 정부서울청사에서 주재한 코로나18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회의에서 이같이 밝히며 "집단감염이 충북 청양의 김치공장과 서울의 대형병원 등 그 대상과 장소를 가리지 않고 발생하고 있다"고 했다.
이어 "성급하게 방역조치를 완화해서 더 큰 재앙을 초래하기보다는 확실한 반전국면을 만들 때까지 총력을 다해야 하겠다"며 "9월 6일자로 종료되는 수도권을 포함한 전국의 사회적 거리두기 연장과 방역수칙 조정방안을 논의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서민경제의 어려움과 일상생활의 불편을 생각하면 대단히 죄송스러운 마음입니다만, 지금 고삐를 바짝 조여 확실한 감소세로 접어들어야만 더 큰 고통을 피할 수 있다"며 "국민 여러분의 이해와 인내를 다시 한번 부탁드린다"고도 했다.
또 "최근 코로나19 확진후 완치된 젊은 층에서 만성피로, 흉통, 호흡곤란 등 후유증을 호소하는 사례가 적지 않게 나타나고 있는데 그럼에도 젊은 층에서는 코로나19 사망률이 낮고 무증상•경증환자가 많다는 이유로 경계심이 느슨해진 것 같아 매우 우려된다"고 했다.
때문에 "본인의 감염으로 인해 소중한 가족과 공동체에 엄청난 고통과 피해를 줄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겠다"며 "젊은이들도 항상 경각심을 가지고 마스크 착용 등 방역수칙을 생활화해 주시기 바란다"고도 했다.
또 정 총리는 이날 정부-여당과 의협이 오랜 협의 끝에 극적으로 타협점을 찾은 것과 관련해 "많이 늦었지만 지금이라도 고통받는 환자들 곁으로 돌아가면 병원도 안정을 되찾을 수 있게 되어 다행스럽게 생각한다"며 "정부도 이에 합당한 조치를 취하겠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