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이스피싱·다단계 피해 등 최근 3년간 피해액 52조원
보이스피싱·다단계 피해 등 최근 3년간 피해액 52조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3년간 피해액 약 52조4천억원...지난 해는 2배 증가 24조원
ⓒ시사포커스DB
ⓒ시사포커스DB

[시사포커스 / 이청원 기자] 서민의 지갑을 노리는 민생 사기범죄인 보이스피싱, 보험사기, 다단계사기 등이 해마다 늘어 최근 3년 간 피해액만 52조에 육박했다.

8일 국회 환노위 소속 국민의힘 김웅 의원이 경찰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연도별 사기피해 금액 및 주요 사기 범죄 적발현황’ 자료를 통해 지난  2017년 이후 3년간 사기 범죄로 인한 피해금액은 총 52조 4천억여원인 것으로 드러났다고 밝혔다.

연도별로 살펴보면, 2017년 17조 4,464억원에서 2018년 10조 7,608억원으로 감소했다가 다시 지난해 24조 2,114억원으로 전년대비 두 배 이상 대폭 증가했다.

특히, ICT 기술이 보편화 되고 SNS 활용이 늘어나면서, 이를 활용한 보이스피싱, 보험사기범죄가 진화하면서 발생 건수가 매년 증가하고 있다.

경찰청에 따르면, 지난 8월 피해자 휴대전화에 ‘악성 앱’을 설치해 경찰 등 기관에 전화하더라도 보이스피싱 콜센터와 연결되도록 한 피의자 13명이 검거했다.

또 지난 6월에는 텔레그램을 통해 동승자를 모집해 지난 1년간 고의로 35건 이상의 교통사고를 내고 합의금 등의 명목으로 보험금 2억원을 타낸 100여명이 검거키도 했다.

이에 대해 김 의원은 "경제침체가 계속되면서 생활고를 겪는 서민들이 금융범죄에 노출되고 있다”면서 “매년 수십조원의 피해를 양산하는 사기 범죄는 평생을 피땀흘려 모아 놓은 서민의 소중한 재산을 앗아가는 반사회적 범죄”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