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임대주택 대통령 발언이 질문이었다는 청와대의 해명은 억지"
국민의힘 “임대주택 대통령 발언이 질문이었다는 청와대의 해명은 억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청와대 "13평 투룸 세대에 아이 둘도 키우겠다"는 발언은 가짜뉴스
-김은혜, '임대주택 가짜뉴스'로 한밤중 언론사에 비상을 거는 초조함이 안타깝다
-청문회도 거치지 않은 후보자를 장관으로 인증하는 대통령
-국민 패싱에 국민들이 분노하는 것
13일 국민의힘 대변인이 논평을 통해 문재인 대통령의 '임대주택 발언은 가짜뉴스'라는 청와대의 반박과 관련 “대통령 발언이 질문이었다는 청와대의 해명은 억지”라고 주장했다. 사진 / 박상민 기자
13일 국민의힘 대변인이 논평을 통해 문재인 대통령의 '임대주택 발언은 가짜뉴스'라는 청와대의 반박과 관련 “대통령 발언이 질문이었다는 청와대의 해명은 억지”라고 주장했다. 사진 / 박상민 기자

[시사포커스/정유진기자] 청와대의 문재인 대통령의 공공임대주택 현장 방문시 "13평 투룸 세대에 아이 둘도 키우겠다"는 발언이 가짜뉴스라고 반박한 것과 관련해 국민의힘은 "청와대는 국민들이 무엇 때문에 힘들어하고 분노하는지보다 대통령의 모습이 어떻게 비춰질지만 골몰하는 듯하다"고 비판했다.

국민의힘 김은혜 대변인은 13일 논평을 통해 "부동산 문제만큼은 자신 있다던 문 대통령은 아직도 국민들에 공감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하며 이같이 말했다.

김 대변인은 "(청와대가)'임대주택 가짜뉴스'로 한밤중 언론사에 비상을 거는 초조함이 안타깝다"고 했다.

김 대변인은 "13평 임대주택에 대해 '신혼부부에 아이 한 명이 표준이고, 어린아이 같은 경우는 두 명도 가능하겠다'라는 문 대통령의 발언이 '질문'이었다는 청와대의 해명은 억지"라며 "문제는 '주장'인지, '질문'인지가 아니다. 백번 양보해 13평 아파트를 보고 저런 질문을 하는 것은 그럼 상식적인가"라고 꼬집었다.

이어 변창흠 내정자를 겨냥해 "자신이 가진 돈보다 더 많은 카드대출을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아)해 강남아파트를 산 후보자가 정작 국민들엔 벌집 임대주택에 살라고 강요하고, 아직 청문회도 거치지 않은 후보자를 장관으로 인증하는 대통령의 국민 패싱에 국민들이 분노하는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부동산 실패에 급기야 '문 대통령의 퇴임 후 사저는 6평으로 제한해 달라'는 국민청원까지 등장했다"라며 "'주택 배급'이 아닌 '주택 공급'이어야 한다. 실패한 사회주의 국가의 전철을 그리도 따라가고 싶나"라고 일침을 가했다.

앞서 문 대통령은 지난 11일 국토교통부 장관 내정자인 변창흠 한국토지주택공사 사장과 경기 화성시의 공공임대주택단지를 찾아 13평형 ‘복층형 신혼부부형’ 아파트에 대한 설명을 듣는 과정에서 논란이 된 발언을 한 것으로 전해졌다.

당시 변 후보자는 2층 침대가 있는 방을 소개하며 “아이가 둘 있으면 위에 1명, 밑에 1명 줄 수가 있다”고 하자 문 대통령은 “신혼부부에 아이 한 명은 표준이고, 어린 아이 같은 경우는 두 명도 가능하겠다”고 물었고, 이에 변 후보자는 “네”라고 답했다. 그러자 복수의 언론과 야권 정치인들 사이에선 날선 비판이 쏟아져나왔다. 논란이 확산하자 강민석 청와대 대변인은 전날 문 대통령 발언이 질문이었다는 점을 강조하며 언론 보도를 반박했다. 강 대변인은 또 “진실 보도까지는 바라지도 않는다”며 “하지만 사실만큼은 정확히 전달해야한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한편 강민석 청와대 대변인은 문 대통령의 '아이 둘' 발언이 논란이 되자 지난 11일 "문 대통령의 발언은 동행한 변창흠 국토부 장관 내정자의 설명을 확인하는 질문을 했을 뿐, '4인 가족도 살겠다'라고 제목을 뽑은 기사는 사실이 아니며 대통령의 발언 취지와도 맞지 않는다"라고 해명했다.

국민의힘 김 대변인은 “대통령 발언이 질문이었다는 청와대의 해명은 억지”라며 “(문 대통령이) 오히려 그 좁은 공간에 4명이 살 수 있을 것처럼 말하는 장관 후보자를 야단쳤어야 하는 것 아닌가”라고 따져물었다.

김 대변인은 “13평 임대주택이 그리 좋다면 13평 신혼희망타운은 왜 또 미달이겠나”라며 “당연한 이치와 상식을 청와대만 모른다”고 질타했다. 그는 “잇단 부동산 정책 실패에 급기야 ‘문 대통령의 퇴임 후 사저를 6평으로 제한해 달라’는 청원까지 등장했다”면서 “청와대는 국민들의 당연한 소망과 본능을 이념으로 짓누르지 말라”고도 경고했다.

영상취재/편집 / 박상민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