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창선 "아이는 샀다가 변심하면 반품.교환할 수 있는 물건이 아냐"
-금태섭 “인권 의식이 의심스럽다. 어떻게 이런 발상을 할 수가 있느냐”
-김은혜 “정인이 사건 방지책은 결국 ‘교환 또는 반품’인 건지 궁금해”

[시사포커스/정유진기자] 문재인 대통령의 '정인이 사건' 대책과 관련해 "아이하고 맞지 않는다고 할 경우에 입양아동을 바꾼다든지"라는 발언에 대해 입양아를 키우고 있는 국민의힘 김미애 의원이 "입양아동이 시장에서 파는 인형도 아니고, 개나 고양이도 아니다"라며 문 대통령의 입양아기에 대한 인식에 분노한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김미애 의원은 18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문대통령의 입양아기에 대한 인식에 분노한다!"는 글을 게시하고 "입양아동이 시장에서 파는 인형도 아니고, 개나 고양이도 아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 의원은 "개와 고양이에게도 그렇게 해서는 안된다"며 "하물며 아기를 인형반품하듯이 다른 아기로 바꿀 수 있다고. 민법과 입양특례법이나 읽어보고, 입양 실무 메뉴얼이라도 확인해보고, 가정법원 판사들께 알아나보고 말씀하시지. 아휴~ 대통령이라는 분의 인식이 이렇다니. 인간존엄성이라고는 없는 분같다"고 분노했다.
그는 "이런 분이 인권변호사였다니 믿을 수 없다"며 "정인이 사건에서 정인이가 문제였나? 앙부모의 아동학대가 문제였지"라고 했다.
이어 "문재인 대통령은 오늘(18일) 기자회견에서 입양아 학대 사망 사건을 언급하면서, "입양 부모의 마음이 변할 수 있기 때문에 '일정 기간 안에는 입양을 다시 취소'한다든지, '아이가 맞지 않는다고 할 경우에는 입양 아동을 바꾼다든지' 등의 대책이 필요하다"라고 말했다"고 전했다.
오늘 오전 문재인대통령은 신년 기자회견에서 아동학대 사건 관련 정부와 국회의 대처가 미흡하고 사건이 불거지면 졸속입법으로 처리하는 악순환을 막을 해법 등에 대해 질문을 받았다.
문 대통령은 학대아동을 발견할 경우 "부모 또는 양부모로부터 분리시키는 조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문 대통령은 "입양의 경우 사전에 입양하는 부모들이 충분히 입양을 감당할 수 있는지 상황들을 보다 잘 조사하고, 초기에는 여러 차례 입양가정을 방문해 아이가 잘 적응을 하고 있는지, 또 입양부모의 경우에도 마음이 변할 수 있기 때문에 일정기간 안에는 입양을 다시 취소한다든지 또는 여전히 입양하고자 하는 마음은 강하지만 아이하고 맞지 않는다고 할 경우에 입양아동을 바꾼다든지"라며 "여러 가지 방식으로, 입양 자체는 위축시키지 않고 활성화해 나가면서 입양아동을 보호할 수 있는 그런 대책도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문재인 대통령의 이같은 발언에 대해 각계의 비난이 쇄도하고 있다.
시사평론가 유창선 박사는 자신의 페이스북에 "이래서 기자들 앞에 나서는 것을 그토록 피해왔던 것일까. 단순히 ‘말 실수’라고 하기에는 그런 생각을 어떻게 떠올릴 수 있을까 하는 의문이 든다"고 밝혔다.
유 박사는 "아이는 샀다가 변심하면 반품.교환할 수 있는 물건이 아니다"라며 "이 말에 대해서는 유감을 표하고 거둬들여야 한다고 본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런 생각은 잘못된 것임을 사회적으로 확인하고 바로잡을 필요가 있다. 나중에 여기저기서, 대통령이 그러라고 했다면 어떻게 하나"라고 문재인 대통령의 발언에 우려를 나타냈다.
한편 더불어민주당을 탈당한 금태섭 전 의원은 “인권 의식이 의심스럽다. 어떻게 이런 발상을 할 수가 있느냐”고 개탄했다. 그는 “실시간 기자회견인 만큼 말꼬리 잡기보다는 답변 내용의 맥락과 취지를 감안해서 평가해야 한다”면서도 “이 부분만은 도저히 넘어가기가 어렵다”고 했다.
김은혜 국민의힘 대변인은 “정인이 사건 방지책은 결국 ‘교환 또는 반품’인 건지 궁금하다”고 물었다. 김 대변인은 논평을 통해 “입양 부모의 마음이 변할 수 있기 때문에 취소하거나 아동을 바꿀 수 있다는 대목에 이르러선 귀를 의심했다”며 “인권변호사였다는 대통령 말씀 그 어디에도 공감과 인권, 인간의 존엄은 없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