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포커스 / 김민규 기자] 문재인 대통령의 아들 문준용 씨가 피해사실 확인서를 4줄 쓰고도 코로나19피해 긴급 예술지원 공모사업에 선정됐다면서 특혜 의혹을 제기했던 곽상도 국민의힘 의원이 ‘피해사실 확인서는 참고용’이란 서울문화재단 측 반박에 15일 “납득하기 어렵다”며 재차 진상규명을 요구했다.
곽 의원은 이날 오후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서울문화재단은 2020.4.29. <코로나19 피해 긴급예술지원 사업>심사 결과를 발표하면서 ‘사업의 우수성만으로 평가가 이루어지기는 불가한 사안이기에 이번 사태로 인한 피해의 심각성과 범위에 대한 판단에 중점적으로 주의를 기울였다’고 했고 2020.4.28. 보도자료에선 ‘코로나19로 인해 문화예술계가 처한 위기의 심각성을 재확인하고 긴급하게 추가지원을 추진하게 되었다’고까지 하면서 코로나 피해의 심각성을 부각했다”며 이같이 꼬집었다.
그러면서 그는 “이번 설 연휴 동안 피해사실 확인서는 참고자료에 불과하고 <피해사실>이 심사에 영향을 주지 않는 내용이라서 참고용임을 따로 공지하지 않았다고 한 것은 납득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는데, 앞서 서울문화재단이 지난 13일 “예술가들에게 ‘코로나 피해 긴급예술지원’을 알리는 공고문을 공지할 때 지원여부를 결정하는 심의기준인 사업계획, 사업내용, 사업성과 등 세 가지를 명확히 알렸다. 심사에 영향을 주지 않는 별도 내용은 공지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공지하지 않았다”고 해명했었던 부분을 꼬집은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또 서울문화재단이 지난해 4월28일 배포했던 보도자료를 재인용해 ‘더 많은 예술가에게 지원 혜택이 돌아갈 수 있도록 추가재원을 확보해 선정규모를 늘리기로 했다. 추가재원 확보에 따라 기존의 500건에서 330건이 늘어난 830건의 예술인이 지원을 받게 됐다“고 해명한 데 대해서도 곽 의원은 ”심사가 다 이뤄진 후인 4월28일에 재단은 돌연 지원자가 몰렸다면서 15억원을 추가 투입해서 선발인원을 늘렸다고 밝혔고 이 과정에서 당초 28등 정도까지 선발되었을 합격자가 46등까지 늘어났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그는 “이미 문준용씨의 심사순위가 다 드러난 상태에서 선발인원을 늘렸으니 ‘논할 가치가 없는 것’이 아니라 그 경위를 밝혀야 한다. 예상보다 지원자가 늘면 예산을 더 편성해서 예정보다 더 선발해왔는지 등등을 분명히 밝혀야 한다”며 서울문화재단을 압박했다.
당사자인 문씨는 자신이 서울문화재단으로부터 코로나19 피해 긴급예술지원을 신청해 1400만원을 받은 데 대해 곽 의원이 지원금 특혜 의혹을 제기하자 지난 10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저의 지원신청서는 20여 쪽에 달한다. 곽 의원 등은 피해사실(신청서)만 발췌해 거짓말의 근거로 악용하는 것”이라고 항변한 데 이어 14일엔 “자기주장에 자신 있다면 공식적인 기자회견이나 보도자료 배포 같은 것을 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