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이 죽고 인생이 죽고
문학이 죽고 인생이 죽고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박인환 시인의 ‘목마와 숙녀’



한 잔의 술을 마시고
우리는 버지니아 울프의 생애(生涯)와
목마를 타고 떠난 숙녀의 옷자락을 이야기한다.
목마는 주인을 버리고 거저 방울 소리만 울리며
가을 속으로 떠났다. 술병에서 별이 떨어진다.
상심(傷心)한 별은 내 가슴에 가벼웁게 부숴진다.
그러한 잠시 내가 알던 소녀는
정원(庭園)의 초목 옆에서 자라고
문학이 죽고 인생이 죽고
사랑의 진리마저 애증(愛憎)의 그림자를 버릴 때
목마를 탄 사랑의 사람은 보이지 않는다.
세월은 가고 오는 것
한때는 고립을 피하여 시들어 가고
이제 우리는 작별하여야 한다.
술병이 바람에 쓰러지는 소리를 들으며
늙은 여류작가(女流作家)의 눈을 바라다 보아야 한다.
... 등대(燈臺)에...
불이 보이지 않아도
그저 간직한 페시미즘의 미래를 위하여
우리는 처량한 목마 소리를 기억하여야 한다.
모든 것이 떠나든 죽든
그저 가슴에 남은 희미한 의식(意識)을 붙잡고
우리는 버지니아 울프의 서러운 이야기를 들어야 한다.
두개의 바위 틈을 지나 청춘을 찾는 뱀과 같이
눈을 뜨고 한잔의 술을 마셔야 한다.
인생은 외롭지도 않고
그저 잡지의 표지처럼 통속(通俗)하거늘
한탄할 그 무엇이 무서워서 우리는 떠나는 것일까.
목마는 하늘에 있고
방울 소리는 귓전에 철렁거리는데
가을 바람 소리는
내 쓰러진 술병 속에서 목메어 우는데



구름 한 점 없는 텅 빈 하늘에서, 갑자기 찌렁 찌렁 하는 유리구슬 깨지는 방울소리가 들리는가 싶더니, 이내 목마의 따각 따각거리는 발자국 소리가 들려오는 듯합니다. 새파란 허공에서 이 세상을 향해 달려오는 낯 익은 목마의 귀 익은 발자국 소리...

한때 누군가, 그 누군가를 간절히 그리워하며, 긴 긴 기다림의 세월을 새겨넣었던 그 나뭇토막, 그 나뭇토막은 그 누군가의 그리움과 기다림을 먹고 마침내 목마가 되어 새로운 실루엣으로 태어납니다. 하지만 그 실루엣은 이내 그 그리움과 기다림이 끝나는 날, 다시 사라지고 맙니다.

그런데 어느 날 문득, 그렇게 기억 속에 잊혀졌던 그 목마가, 긴 세월이 흐른 지금, 우리들 마음 속에서 다시 실루엣으로 되살아나고 있습니다. 하지만 지금 우리들 마음 속으로 달려오고 있는 저 목마의 발자국 소리는 또 한 계절을 거두기 위해 이 세상으로 달려오는, 우리가 알 수 없는 그 어떤 보이지 힘이 다가오는 소리처럼 느껴집니다.

동무가 곁에 있고, 그토록 사랑하는 그이가 내 곁에 있어도 이상하게 쓸쓸하고 고독하기만 합니다. 그렇습니다. 바로 그런 계절이 지금, 제법 허연 입김이 밥김처럼 후후 바람에 날리는 늦가을 이맘때 쯤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문학이 죽고 인생이 죽고... 가을바람 소리는/내 쓰러진 술병 속에서 목메어 우는데..."

그렇습니다. 그런데도 왜 낙엽은 저리도 서럽게 지고, 노을은 또 왜 저렇게 아름답게 져서 우리들 가슴을 이리도 아프게 만드는 겁니까. 이제 모든 것이 또 한번 사라지는 계절입니다. 그래서 우리는 한탄할 그 무엇이 아직까지 남아 있는 것일까요.

시인 박인환은 1926년 강원도 인제에서 출생하여, 1944년 평양의학전문학교에 입학했으나 해방을 맞이하면서 학업을 중단하고 맙니다. 1946년 <국제신보>에 시 <거리>를 발표하면서 등단한 이후, 1949년에 김수영, 김경린, 양병식, 임호권과 함께 공동 시집 <새로운 도시와 시민들의 합창>을 냅니다.

1955년 시집 <박인환 시선집>을 발간한 그 이듬해인 1956년에 목마를 탄 숙녀가 기다리는 하늘로 돌아갔습니다. 주요시집으로는 <박인환 시선집>(1955), <목마와 숙녀>(1976)가 있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