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곤 전당대회준비위원장과 최규성 당헌당규분과위원회위원장은 이날 국회에서 당무위원회의에서 5월4일 정기전당대회를 열어 대의원 50%+권리당원 30%+여론조사 20% 방식으로 지도부를 선출하기로 했다. 찬반 논란이 일었던 일반 국민을 대상으로 한 모바일투표는 폐지키로 결정했다.
단, 권리당원의 경우에는 ARS를 통해 투표를 할 수 있도록 해 모바일투표의 기능을 일부 살렸다. ARS 투표는 정기전대에 임박한 시점에서 이틀에 걸쳐 실시하기로 결정했으며 권리당원 중 휴대전화가 없는 당원은 우편투표로 의사를 표시할 수 있도록 했다. 대의원 투표는 오프라인으로 투표소에서 해야 한다.
민주당은 지도체제로 대표와 최고위원을 따로 선출하되 최고위원들의 의견을 존중하는 '단일성 집단지도체제'를 채택했다. 현재는 최고위원을 일괄 선출하는 과정에서 최다득표자가 대표를 맡는 순수 집단지도체제다.
다만 선출직 최고위원을 현행 5명에서 4명으로, 지명직 최고위원을 현행 4명에서 3명으로 줄여 당 대표의 권한을 강화시켰다.
당 대표 후보는 3명, 최고위원 후보는 7명으로 제한하기로 해 이보다 더 많은 후보들이 등록을 할 경우 컷-오프를 실시하기로 결정했다.
지도부 선출 규칙과 관련해 당초 정치혁신위원회에서는 '여론조사 20%'를 일반 당원과 국민참여경선선거인단으로 구성해 실시하자고 했다.
그러나 일반 당원의 경우 전수조사에만 3개월이 걸리고 국민참여경선은 찬반논란이 심해 이번에는 이를 반영하지 않기로 했다.
다만 새로 뽑히는 지도부가 다음 정기전대 이전에 권리당원과 일반당원의 비율을 더 높이고, 모바일 서포터즈 제도 등 시민 참여를 확대하는 방안을 마련하기로 한다는 내용의 부칙을 넣는 것으로 조정이 됐다.
시도당 위원장은 '대의원 50%+권리당원 50%' 방식으로 선출하기로 했다. 이전에는 대의원 100% 방식으로 시도당 위원장을 선출했다. 이 선거에서 권리당원은 지도부 선출방식과 마찬가지로 ARS를 통해 선출권을 행사하도록 했다.
지역위원장 선출 방식은 지역대의원대회 개최를 통해 선출하는 안, 지역대의원 전원과 권리당원 전원의 의견을 50%씩 반영하는 안, 권리당원 100%로 선출하는 안 등을 놓고 비대위가 차후 결정하는 식으로 정리했다.
이제 중앙위원회의 의결이 남았지만 당무위 대부분이 중앙위원이기 때문에 이번 의결이 사실상 확정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