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의 4대강으로 인한 소음 피해 첫 배상
이명박의 4대강으로 인한 소음 피해 첫 배상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소음 없애려면 보의 구조를 바꿔야"

26일 환경부 중앙환경분쟁조정위원회(분쟁조정위)는 경북 상주시 낙동강 낙단보에서 강물이 떨어지면서 발생하는 소음으로 정신적 피해를 당한 씨에게 국토해양부가 758000원을 배상하도록 판정했다.

상주시 낙동강변의 2층 주택에 사는 씨는 지난해 3월 낙단보의 가동이 시작된 뒤 소음 스트레스를 받아 지난해 10월에 배상을 신청했다.
소음도를 측정한 결과 씨 집 1층은 53(데시벨), 2층은 61로 나타났다. 지난해 상주시가 측정한 소음도는 주간 61.1, 야간 57.4로 비슷했다. 60은 일상적인 대화에서 발생하는 정도의 소리 크기이며 사람들은 보통 60정도부터 소음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분쟁조정위는 해당 지역의 최대 소음도가 생활소음 규제기준인 주간 55, 야간 45을 모두 근접해 있어 소음으로 판단했다.

분쟁조정위는 소음 피해를 없애기 위해 방음벽을 세우거나 보의 구조를 바꿔야 한다고 설명했다.

한편 4대강 사업으로 소음피해 배상 판결이 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