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을 향한 포스코의 눈치보기가 애처로울 지경이다. 최근 정 회장은 코드인사 의혹을 받은 데 이어 박정희 전 대통령과 연관성을 부각해 지탄을 받았다. “포스코가 새 정부 눈치 보기에 여념이 없다”는 것이다. 이런 가운데 정 회장이 이사회에는 제 사람 심기를 통해 친정체제를 구축했다는 주장이 나왔다. 각종 의혹을 종합하면 포스코는 이번 인선을 통해 새 정부와 정 회장의 입맛을 모두 사로잡은 셈이다.

성급한 임원인사 발표 “길 트려고?” 의혹
기념회서 “박정희 전 대통령…” 언급까지
“사내이사는 내 사람을” 측근정치 의혹도
포스코는 3월 7일 임원 인사명단을 발표했다. 주주총회 당일 혹은 전날 인사명단을 공개했던 종전과 비교하면 이례적인 행보였다. 인사명단이 공개되고 뒷말이 무성했다. 한겨레에 따르면, 포스코는 마감시간 직전 보도자료를 돌렸는데 승진자 수 등 구체적인 내용을 파악하지는 못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기업의 인사 보도자료는 엄격한 확인을 거친 뒤 발표한다는 통례를 들며 의아했다는 지적이다.
성급한 인사발표·기념회 발언
“새 정부 눈치 보기?”
더욱이 명단에 이름을 올린 인물들도 의구심을 불러일으켰다. 공채출신 여성이 임원으로 최초 발탁된 것이다. 포스코는 “우수한 성과를 구현한 여성인력들이 대거 약진했다”고 밝혔는데, 업계에서는 박근혜 정부와 코드를 맞추기 위한 인사라는 시각이 팽배했다. 박근혜 대통령이 당선된 뒤 공채출신 첫 여성임원이 탄생했기 때문이다.
대외협력·홍보 등을 담당하는 CR본부장(부사장)으로 황은연 전무가 승진한 것도 눈길을 끌었다. “마케팅 부문의 전문가”라는 포스코의 설명이 있었으나, 업계에서는 황 부사장이 성균관대 법대 출신이라는 점을 조명했다. 박근혜 정부에서 다수 성균관대 출신이 고위직을 차지했다는 것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정홍원 국무총리, 황교안 법무부장관, 허태열 청와대 비서실장, 유민봉 국정기획수석, 곽상도 민정수석비서관, 이남기 홍보수석, 모철민 교육문화수석 등이 성균관대 출신으로 이중 황교안 법무부장관, 곽상도 민정수석비서관은 황 부사장과 막역한 사이인 것으로 알려져 의혹을 가중시켰다. 성균관대 출신 황 부사장에게 대외협력 업무를 맡겨 “박근혜 정부와 한층 가까워지려는 의도”라는 것이 업계의 시각이었다.
정 회장이 3월 29일 포스코 창립 45주년 기념식에서 “박정희 (전) 대통령의 일념과 기획에 의해 포스코가 탄생했다”고 말하면서 포스코를 향한 의구심은 가중됐다. 고 박태준 명예회장이 마지막 연설에서 한 말을 상기시킨 것이었지만 새 정부 눈치 보기라는 시선이 짙었다. 굳이 박정희 대통령까지 언급할 필요가 있었느냐는 지적이었다.
친정체제 구축해 안정도?
이런 가운데 정 회장이 이사회에 측근을 배치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또다시 측근정치 의혹을 받은 것이다. 포스코는 3월 22일 열린 주주총회에서 기존 이사진(사내이사 5명, 사외이사 7명) 12명 중 5명(사내이사 2명, 사외이사 3명)을 교체했다. 이중 눈길을 받은 인물은 김응규 경영지원부문장(부사장).
김 부사장은 연세대 법대 출신으로 포스코 채용팀장, 경영지원부문장, 인재혁신실장 등을 거쳐 포스코 CR본부장(전무)을 맡았다. 이번 인사에서는 사내이사로 발탁됨과 동시에 부사장으로 승진했다. 전무급 인사가 사내이사로 선임된 것은 이례적인 일이라 의아한 시선이 쏟아졌다
더욱이 김 부사장은 정 회장이 2004년부터 3년간 광양제철소장(전무이사)을 지낼 때 노무안전부 부장으로 함께 호흡을 맞춘 바 있다. 정 회장의 측근으로 분류되는 인사인 것. 매년 이사회 물갈이로 “친정체제 구축” 의혹을 받는 포스코가, 김 부사장을 사내이사로 발탁함으로써 “친정체제 강화” 의혹을 받게 된 이유다.
한편, 포스코 관계자는 당시 전무였던 김 부사장이 사내이사로 선임된 이유에 대해 묻자 “2년 간 전무로 재직했다”는 함축된 말을 전했다.
박미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