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영그룹(회장 이중근) 계열사 부영환경산업이 또다시 그룹지원을 받았다. 부영환경산업은 일주일 전에도 계열사와 거래한 자금차입 5건을 한꺼번에 공시한 바 있다. 5건 중 3건이 ‘공정거래법상 공시규정’을 위반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이사회 의결 7일 내 공시해야 되는 거래임에도 지켜지지 않았다는 것이다. 이와 함께 부영환경산업은 자금차입과 관련, 저리 논란에도 휩싸인 상태다. 부영환경산업의 자금차입을 둘러싼 의혹을 살펴봤다.
부영환경산업, 7월 29일 자금차입 5건 무더기 공시
완전자본잠식에 이율 5.5%로 자금차입? 특혜 의혹
현 공동대표 포함 등기임원 선임됐던 관료출신 4명
부영환경산업이 운영자금 조달을 위해 계열사인 동광주택으로부터 3300만원 자금을 차입했다고 5일 공시했다. 이자율은 5.5%이고, 차입기간은 2013년 8월 2일부터 1년이다. 이로써 부영환경산업이 동광주택에게 빌린 돈은 3억3200만원이 됐다.
일괄 공시된 자금차입 5건
부영환경산업은 지난달 29일에도 자금차입 공시를 낸 바 있다. 5건으로 동광주택(4건), 부영주택(1건)과의 거래였다. 세부적으로 보면, 부영환경산업은 동광주택으로부터 △올해 2월 3200만원 △4월 4400만원 △6월 4200만원 △7월 4100만원을 빌렸고, 7월 부영주택으로부터 2100만원을 차입했다. 모두 차입기간은 1년이었으며, 이율도 5.5%로 동일했다.
문제는 해당거래가 공시된 날짜였다. 2월부터 7월까지 이뤄진 거래 5건이 7월 29일 일괄 공시됐기 때문이다. 부영환경산업이 공정거래법상 대기업집단 공시규정을 위반했다는 지적이 나왔다. 공정거래법에 따르면, 대기업집단 계열사는 자기자본(자본총액) 또는 자산총액에서 큰 금액의 5% 이상 규모를 계열사와 거래할 때 이를 이사회에서 의결하고 7일(상장사 1일) 내 공시해야 한다.
지난해 말 부영환경산업 자본총계는 마이너스(-) 1억3500만원, 자산총계는 1억2700만원이다. 이에 따르면, 부영환경산업은 1억2700만원의 5%(635만원) 이상을 계열사와 거래할 경우 거래내용을 공시해야 됐다. 올해 2월(3200만원), 4월(4400만원), 6월(4200만원) 이뤄진 자금차입 3건은 공정거래법에 저촉된다는 근거가 되는 셈이다.
부영환경산업은 자금차입과 관련, 저리 논란에도 휩싸였다. 지금까지 부영환경산업이 계열사들로부터 자금차입을 한 공시를 보면 이율이 5.5%로 동일하게 적용됐다. 문제가 된 것은 이 5.5% 이율이다. 부영환경산업은 지난해 말 완전자본잠식 상태였다. 5.5% 저리로 자금차입을 하기에는 부영환경산업의 재무구조상 무리가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공정거래법에서도 계열사 간 자금거래 이율이 돈을 빌리는 계열사가 외부 금융기관에서 자금차입을 받을 때 적용되는 이율보다 낮을 경우 부당내부거래로 간주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판단기준은 국세청이 고시하는 당좌대출 평균금리(6.9%)다. 완전자본잠식 상태인 부영환경산업이 6.9%보다도 낮은 이율로 자금차입을 하면서 ‘부당내부거래’ 의혹을 받게 된 것이다.
“퇴직관료 재취업처?” 의혹도
부영환경산업은 환경 정화·복원을 주요사업으로 영위하는 회사로 부영주택이 지분 100%를 보유하고 있다. 2011년 설립이후 2년간 부영주택으로부터 매출 100%를 올린 회사이기도 하다. 부영환경산업 내부거래량(매출과 동일)은 2011년 50억4400만원, 2012년 45억5900만원이었으며 전량 수의계약으로 이뤄졌다.
부영주택의 전폭적인 일감지원에도 부영환경산업의 실적은 처참했다. 지난해 부영환경산업은 1억2800만원 영업손실과 1억3100만원 당기순손실을 기록했다. 1년 전보다 규모가 줄었지만 여전히 적자였다. 반면 자본잠식은 심화됐다. 지난해 부영환경산업은 마이너스(-) 1억3500만원(자본금 3억원)의 자본총계를 기록하며 완전자본잠식 상태에 놓였다.
부영그룹은 계열사인 부영주택과 동광주택을 앞세워 재무악화에 시달리는 부영환경산업에게 자금대여를 해줬다. 지난 1년간 부영환경산업이 이들에게 받은 자금대여 횟수만 8건에 달할 정도다. 이처럼 부영환경산업에 대한 부영그룹의 애정(?)이 돋보인 가운데, 부영환경산업이 선임한 임원진과 관련해 의혹이 제기되기도 했다.
부영환경산업은 설립이후 5번의 임원변동 공시를 낸 것으로 나타났다. 그때마다 논란이 된 것은 선임된 임원들의 면면이었다. 임원명단에 관료출신이 이름을 올리면서 “퇴직관료들의 재취업처 아니냐”는 의혹이 쏟아진 것이다.
공시에 따르면, 부영환경산업은 2011년 3월(선임일 기준) 조우현 전 건설교통부(현 국토교통부) 차관을 감사로 선임했다. 조 전 차관은 2년 후인 올해 3월 감사직에서 물러난 상태다. 2012년 4월에는 최병찬 전 환경관리공단 소장이 대표이사로 선임됐다.
최 전 소장은 올해 1월 대표이사직에서 물러났는데, 바통을 이어받은 인물은 건설교통부 제주국토청장과 국토해양부(현 국토교통부) 진주국도소장 등을 역임한 박화동씨다. 올해 2월에는 이용학 전 경남 거제시 부시장이 부영환경산업의 공동 대표이사로 이름을 올렸다. 관료출신으로 대표이사진이 구성된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