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남보호관찰소 서현동 이전, 지역 주민 거센 반발
성남보호관찰소 서현동 이전, 지역 주민 거센 반발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찰소 "오후 6시 이전에 귀가,관리·운영 보완하겠다" 발표
▲ 성남보호관찰소가 수진동으로 옮겨졌으나 주민의 큰 반대에 부딪혔다. / 사진:네이버 지도 캡쳐.

보호관찰소 이전 반대 비상대책위원회 회원 5백여 명은 6일 저녁 집회를 열고 성남보호관찰소가 경기 서현동으로 이전돼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

회원들은 법무부가 공청회도 없이 이전을 강행했다고 덧붙였다.

성남보호관찰소는 성남·광주·하남지역 보호관찰대상자 1천5백여 명을 지도·감독하는 시설로 지난 4일 분당구 서현동 274의 2 건물(1∼3층 전용면적 1천124㎡)을 임차해 옮겨왔다.

이전 작업도 주민 반발을 의식한 듯 새벽부터 기습적으로 이뤄졌기에, 뒤늦게 이전소식을 접한 주민들은 5일 서현동, 이매동 학부모를 중심으로 '보호관찰소 이전 반대를 위한 분당학부모비상대책위원회'를 결성하고 입주 철회 활동에 나섰다.

비대위는 성명을 통해 "아무런 설명이나 알림도 없이 분당 심장부로 '도둑이사'를 한 것"이라며 "분당지역 청소년 문화중심지이기 때문에 이전을 즉각 철회 할 것“을 요구했다.

덧붙여 "청소년들이 신상도 알 수 없는 1천500명의 범죄자에게 24시간 노출되는 것"이라며 "이를 지역이기주의로 매도할 수 있나"고 반문했다.

보호관찰소가 들어선 분당선 서현역세권은 분당신도시의 중심상권이자 백화점(AK플라자), 영화관(메가박스), 대형서점(교보문고) 등이 밀집해 있어 초중고 학생들이 즐겨 찾는 곳이다.

법무부와 성남시 홈페이지에 민원 글이 쇄도하자 이재명 성남시장은 트위터를 통해 "시에 통보 없이 한 일이라 황당하다"며 "업무시설에 보호관찰소가 들어갈 수 있게 정부가 법을 고쳤고 현 건물이 업무시설이기 때문에 정부 결단 이외에 시로써는 막을 방법이 없다"고 입장을 표명했다.

성남보호관찰소 관계자는 "보호관찰소 대상자들이 오후 6시 이전에 귀가하도록 하고 관리형태도 가정방문 위주로 전환하는 등 주민 피해가 없도록 운영을 보완하겠다"고 발표했다.

성남보호관찰소는 2000년 수정구 수진2동에 설립된 이후 세 차례나 주변 건물을 전전하며 떠돌이 생활을 했다.

한편, 비대위 학부모들은 9일부터 서현역 주변과 보호관찰소 앞에서 서명운동과 집회를 벌일 계획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1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Tjsl 2013-09-07 11:05:08
여기는 정말 분당의 청소년 문화의 거리입니다. 학부모들이 그냥 집근처니까 또는 집값떨어져서 항의하는것이 아닙니다. 분당지역 대부분의 청소년들이 이용하고 많은 편의 시설들이 있는 곳의 한가운데 시설이 들어온다는것이 속상할 따름입니다.

분당주민 2013-09-07 12:40:36
김동현 기자..제목이 이게 뭡니까? 보호관찰소 5km 반경에 학교 77개나 있는 지역입니다. "우리지역에는 안돼" 이건 님비현상으로 몰아가는 제목이네요. 제목 정정해 주세요.

김지현 2013-09-07 13:11:33
기자님.. 이건 님비와 차원이 다름니다. 공청회한번 열지 않고 이전하는게 말이 됩니끼?

원더짱 2013-09-07 16:35:30
내 아이들이 뛰어노는 공원에 문신한 남자들 서넛이 활보를 하며 내 아이들을 힐끗거린다면~이게 님비일까요? 용어자체를 다시 공부 하셔야 할 듯이요

박경순 2013-09-07 21:16:56
기사 제목하고는.무슨 자극 기사 쓰는 것도 아니고. 기분 나쁘네요. 좀 더 객관적으로 상황을 보고 기사를 작성하세요. 님비라고 하는 사람들은 당신들 동네에 아주 번화가에 이런 시설이 떡 들어선다면 그것도 공청회 한 번 없이 들어선다면 아 그렇구나 하고 넘어갈 수 있습니까? 생각들 좀 하고 말 좀 뱉으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