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이석채 후임, 친박 아닌 삼성출신
KT 이석채 후임, 친박 아닌 삼성출신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황창규 전 삼성전자 사장 내정...'황의 법칙' 유명세 떨친 반도체 전문가
▲ KT 차기회장으로 황창규 전 삼성전자 사장이 내정됐다. (사진 뉴시스)

KT 차기 CEO 최종후보로 황창규 전 삼성전자 사장이 내정됐다. 그간 임주환 전 전자통신연구원장 등 현 정권과 인연이 있는 인물들이 유력한 후보로 언급돼왔다는 점에서 이례적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16일 KT CEO추천위원회는 황창규 전삼성전자 사장을 차기 CEO로 낙점했다고 밝혔다.
황 전 사장은 내년 1월께 열리는 임시 주주총회를 거쳐 회장으로 공식 선임될 예정이다. KT 최대주주가 국민연금인 만큼 황 전 사장은 무리 없이 KT 회장직에 오를 것으로 보인다. 임기는 3년이다.

황 전 사장은 서울대학교 전기공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메사추세츠주립대 전기과 박사학위를 받은 뒤 미국 스탠퍼드대 책임연구원, 미국 인텔사 자문을 맡았다. 이후 1989년 삼성반도체 DVC 담당으로 입사해 삼성반도체 상무이사, 연구소장, 부사장, 삼성전자 메모리사업부 사장 및 기술총괄사장 등 주요보직을 거쳤다.

특히 황 전 사장은 1994년 세계 최초로 256메가 D램을 개발하고 2002년 국제반도체회로학술회의에서 반도체 메모리 용량이 매년 2배씩 증가한다는 ‘황의 법칙’을 발표해 유명세를 떨친 인물이기도 하다. MB정부에서는 지식경제R&D 전략기획단장을 맡았으며 현재는 성균관대 석좌교수로 있다. 김기춘 대통령 비서실장과 동향으로 알려졌다. 

업계 안팎에서는 황 전 사장의 내정과 관련 이례적이라는 평가다. 그간 KT 차기 CEO로 통신전문가이자 현 정권과 연관이 있는 임주환 전 원장이 내정될 가능성이 높다는 설이 유력하게 나돌았다. 하지만 임 전 원장의 경우 박근혜 대선캠프에서 자문활동을 하는 등 낙하산 논란이 불거질 우려가 있다는 점이 부담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황 전 사장은 김기춘 비서실장과 친분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대선을 전후로 자문활동을 하지 않는 등 낙하산 논란에서는 한 발 빗겨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 다만 황 전 사장이 차기 CEO가 통신 전문가여야 한다는 KT새노조 및 시민단체 요구와는 부합하지 않는 인물로 분류돼 적잖은 진통도 예고되고 있다.

이와 관련 이해진 KT새노조 위원장은 "삼성의 탐욕 경영이 재현돼 공공성이 더욱 후퇴될 수도 있다"면서 "노동인권 문제가 심각한 KT에 반노동 기업문화의 상징인 삼성출신이 왔다는 점에서 노동인권이 악화될 수도 있다"고 우려를 나타냈다.

한편 이날 추천위는 서울 서초사옥에서 오후 2시부터 6시까지 4시간 동안 권오철 SK하이닉스 고문(전 하이닉스반도체 사장), 김동수 법무법인 광장 고문(전 정보통신부 차관), 임주환 고려대 세종캠퍼스 객원교수(전 전자통신연구원(ETRI) 원장), 황창규 성균관대 석좌교수(전 삼성전자 기술총괄 사장)에 대한 면접을 가나다순으로 실시했다.

이후 사외이사들이 1시간 정도 토론을 한 결과 황 전 사장이 KT 차기회장으로 내정됐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