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레일, 수서발KTX ‘400억 호화 사옥’ 계획 논란
코레일, 수서발KTX ‘400억 호화 사옥’ 계획 논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野 “경영악화 극복 위해 경쟁체제 도입한다더니” 맹비난
▲ 경영 악화를 이유로 수서발KTX 법인 설립을 추진한 코레일이 400억원 규모의 사옥 신축을 계획하고 있어 논란이 일고 있다. 사진은 최연혜 코레일 사장 / 사진 : 유용준 기자

경영 악화 해소를 위해 자회사를 설립, 경쟁체제를 구축하겠다던 코레일이 400억 원에 달하는 수서발KTX 사옥 건립 계획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논란이 일고 있다.

10일 <프레시안>에 따르면, 코레일은 최근 기획재정부에 ‘수서고속철도주식회사 설립안’을 ‘출자회사 설립 관련 협의 자료’ 명목으로 공문과 함께 제출했다.

코레일은 이 자료에서 ‘역사주변 건물임대’(연간 약 27억원), ‘역사를 증축하여 사옥 공간 확보’(약 150억원), ‘역사주변 토지를 매입하여 사옥 신축’(약 400억원) 등 3가지 안을 제시했다. 하지만, 프레시안은 “코레일은 비용이 가장 많이 드는 ‘건물 신축’안이 가장 유리하다는 결론을 내렸다”고 전했다.

코레일은 자료를 통해 수서역 주변 건축 시 토지매입비로 231억원, 건축공사비로 152억원, 취득세 15.5억원 등 총 398.5억원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해 제시했다.

경영 악화를 극복하기 위해 경쟁체제를 도입한다는 코레일이 이처럼 수백억 원에 달하는 사옥 건립을 검토하고 있다는 사실이 알려지자, 논란이 일고 있는 것이다.

민주당은 즉각적으로 비난을 쏟아냈다. 이날 배재정 대변인은 브리핑을 통해 “어이가 없다는 말 정도로는 부족한 심경”이라며 “수서발 KTX주식회사는 이 외에도 연봉 1억원 이상의 임원 5명을 둘 계획이라고 한다”고 밝혔다.

배 대변인은 그러면서 “철도노조 파업 당시, 최연혜 코레일 사장과 서승환 국토교통부 장관 등 정부 관계자들은 코레일의 17조원 부채 해결과 경영혁신을 이유로 노조의 파업을 비난했다”며 “지금까지도 파업 참가자에 대한 중징계 방침을 철회하지 않고 있다”고 맹성토했다.

배 대변인은 이어, “평균 근속 19년에 평균 연봉 6천3백만 원 받는 노동자들을 ‘귀족’이라고 비난했다. 파업 참가자들에게 해고협박을 했다”며 “그 돈으로 기껏 400억 청사를 짓겠다는 것이냐. 국민의 뜻에 역주행하고 궤도 이탈만 일삼는 코레일, 국민의 이름을 중징계해야 한다”고 강하게 비난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