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이 올해 상반기 신입사원 채용부터 '대학총장 추천제'를 도입키로 한 뒤 24일 각 대학에 배정인원을 통보했다.
대학총장 추천제는 대학총장에게 인재 총장권을 부여하고 상시로 지원서를 접수해 서류심사 후 SSAT 응시자격을 주는 수시 채용제도다.
25일 한국대학신문 등에 따르면 삼성은 전국 200여 대학에 총장 추천인원을 통보했다. 이 가운데 삼성이 재단운영에 참여하고 있는 성균관대가 115명 추천권을 확보, 가장 많은 추천인원을 배정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외 서울대·한양대(각 110명), 연세대·고려대·경북대(각 100명), 부산대(90명), 인하대(70명), 경희대(60명), 건국대(50명)가 상위 10위권에 들었다.
또 삼성은 중앙대(각 45명), 동국대(40명), 광운대(35명), 단국대·서울시립대·숭실대·한국외대(각 30명), 국민대(25명), 세종대(20명), 명지대·상명대(각 15명), 한성대(12명) 등 서울지역 대학에 추천권을 줬다.
여대 중에서는 이화여대에 가장 많은 30명을 배정했고, 이어 숙명여대(20명), 성신여대·서울여대(각 15명), 동덕여대(13명), 덕성여대(10명) 등 순이었다. 여대는 이공계가 상대적으로 약해 총장 추천인원이 적은 것으로 분석됐다.
일각에서는 영남권 대학이 호남권 대학에 비해 많은 학생을 확보하면서 지역별로 편차를 둔 것이 아니냐는 의혹이 나왔다.
영남권인 경북대와 부산대는 각각 100명, 90명을 할당받은데 반해 호남권인 전남대와 전북대는 각각 40명, 30명을 배분받았다. 또 부산에 있는 부경대(45명), 동아대(25명)보다 호남대와 목포대(각 10명) 할당인원은 적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