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상 초유의 카드사 개인정보 유출 파문으로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국민적 우려가 들끓고 있는 가운데, 6일 KT홈페이지가 해킹당해 또 다시 1200만 명의 고객정보가 유출된 것으로 알려져 여야 정치권이 촉각을 기울이고 나섰다.
새누리당 박대출 대변인은 이날 현안 브리핑을 통해 “지난해부터 하루에 최대 수십만 건의 개인정보를 빼내갈 동안 대한민국에서 가장 큰 통신회사인 KT는 뭘 하고 있었는지 모르겠다”며 “이번 사건은 KT의 보안시스템과 보안관리감독이 얼마나 허술했는지 보여주는 인재사고”라고 강하게 질타했다.
박 대변인은 그러면서 “지난 1월에 시중은행에서 개인 금융정보가 대량 유출되는 사고가 터진지 두 달 만에 또 대량의 개인정보가 유출되는 사고가 발생했다”며 “국민들은 정부와 관계기관들이 재발방지책을 제대로 마련하고 있는 것인지 우려할 것”이라고 정부와 관계기관에 대한 적극적 대안 마련을 촉구하기도 했다.
이어, “유출된 개인정보에는 주민번호와 은행계좌 등과 같은 민감한 정보들이 들어 있어, 고스란히 다른 범죄로 연결될 수 있는 만큼 관계당국은 철저히 사태파악을 해야 한다”며 “정보유출로 인한 2차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서둘러 재발방지책 마련에 만전을 다해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아울러, “유출과정의 책임소재에 따라 관련자를 엄중히 처벌해 이러한 유사범죄가 일어나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민주당 한정애 대변인도 이날 브리핑에서 “아직 카드사 개인 금융정보 유출 사고의 후유증이 가시기도 전에 이 같은 일이 벌어지다보니 정부의 재발방지 대책이 존재하기는 하는지 의심스럽다”며 “KT의 보안시스템과 관리감독 수준이 이정도 밖에 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실망하고, 예방이 가능한 인재사고였다는 점에서 분노를 금할 수 없다”고 말했다.
한 대변인은 “이번 사태는 지난 카드사 개인정보 대량유출 사태처럼 정부의 무능한 관리감독과 KT의 허술한 보안이 만들어낸 합작품”이라며 “정부는 도대체 무엇을 하고 있는가. 국민들은 특단의 대책을 요구하고 있다”고 정부의 각성을 촉구했다.
덧붙여 “그 동안 관계당국이 사태파악을 제대로 하지 못하고 관련 책임자에 대해서도 솜방망이 처벌을 해와 오늘날의 이런 사태를 초래했다는 점에서 KT뿐만 아니라 관계 당국의 책임이 결코 가볍지 않다”며 “소 잃고 외양간 고치지 말라는 속담은 사전예방을 강조한 말이다. 언제까지 이 속담을 되풀이 할 것인가에 대해 국민은 엄중하게 정부에게 묻고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