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25일 새누리당 공천관리위원회는 6.4지방선거 서울시장 경선 후보자의 2배수 압축 가능성에 대해 “여론조사 결론을 보고 결정할 것”이라며 완전히 가능성을 닫아놓지 않았다. 이와 관련, 새누리당 서울시장 예비후보인 정몽준 의원과 이혜훈 최고위원 측이 “원칙을 훼손하는 것”이라며 반발하고 나섰다.
정몽준 의원 측은 26일 논평을 통해 “어제 새누리당 공천관리위원회는 ‘서울시장 경선 후보로 '정몽준·김황식·이혜훈' 3인을 1차 압축했으나, 다시 정밀 여론조사를 실시하여 경선 후보를 최종 2인으로 정할 수도 있다’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면서 “이혜훈 후보의 컷오프는 지금까지 경선 원칙을 깨는 것으로 그간 당 지도부가 주창해 온 ‘흥행’에도 도움이 안 되는 결정”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여성후보의 선전을 응원했던 많은 당원과 여성유권자들의 신뢰를 깨는 것이며 상식에도 맞지 않는 결정으로 경쟁 후보자의 입장에서 방관할 수 없는 중대한 일”이라고 덧붙였다.
아울러 “컷오프 기준인 여의도 연구소 여론조사에 의하면 이혜훈 후보는 7% 지지율을 보였다”면서 “4년 전 서울시장 후보 경선에서 김충환 전 의원은 여러 여론조사에서 한 자릿수 지지율을 보였지만 컷오프 대상으로 거론된 적이 없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김충환 전 의원은 경선 득표율 6.7%를 기록했으나, 이전 후보적합도 여론조사에서는 1%의 지지율을 보였다.
정 의원 측은 “이랬던 새누리당이 새삼스럽게 이혜훈 후보의 컷오프 가능성을 내비치는 것은 여성 후보에 대한 명백한 차별”이라며 “많은 문제를 안고 있는 이혜훈 후보의 컷오프를 강행할 경우 공정한 경선 원칙을 훼손함은 물론 본선에서도 여성유권자의 외면 등으로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 최고위원 측도 이날 오후 논평을 통해 “지금까지 컷오프 방식을 3~5배수가 원칙이라고 공표해 온 공당이 스스로 이를 뒤집는 것은 원칙에 안 맞는 일”이라며 강력하게 반발했다.
또 “경선 컷오프는 경선을 치루기에 너무 많은 후보가 등록할 때 운영상 경선을 치룰 수 있는 수로 줄이는 의미”라며 “후보 3명이 너무 많다고 2명으로 줄이겠다는 것은 상식이하의 발상”이라고 비난했다.
특히 이 최고위원 측은 “2007년 한나라당 대통령 경선 당시 이명박 후보와 박근혜 후보의 초박빙 상황에서도 2.9%짜리 홍준표 후보도 컷오프하지 않았고, 2012년 대통령 후보 경선 때도 박근혜 (58.4%) 후보에 비교도 안 되는 김태호(1.9%), 임태희 (0.4%) 후보도 컷오프하지 않았다”고 거론하며 “이렇듯 컷오프 취지에도 맞지 않고, 전례에도 없고, 공당이 이미 발표한 원칙을 뒤집는 것은, 선거 구도에 영향을 주겠다는 의도 외에는 설명이 어렵다. 명백한 불공정 경선이고 경선 중단을 불러올 수 있는 중대국면에 처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2012년 전당대회 당시 여론조사 비중이 2.1%에 불과했던 이 최고위원이 현장표로 뒤집어 2위로 지도부에 입성했던 점을 강조하며 “당심과 TV토론 등에서 우위를 점하는 이혜훈 후보를 억지로 빼려는 특정후보의 의사가 반영되는 것이라면 더욱 심각한 문제”라고 밝혔다.
아울러 “원칙과 상식에도 맞지 않는 3명에서 2명으로 줄이는 방안을 검토한다는 것 자체가 특정후보를 위해 경선 구도를 흔들어 보겠다는 저의가 있다고 밖에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고 날을 세웠다.
반면 김황식 전 총리 측 유성식 대변인은 이날 <뉴시스>와 통화에서 “당의 결정에 따르겠다”고 말했다.
김 전 총리 측은 “지난 번 원샷 경선이 결정됐을 때도 상향식 공천이나 보다 많은 당원과 시민이 참여하는 경선 취지에 미흡하다는 생각을 갖고 있었지만 당의 결정을 수용했다”며 “공천위 나름의 원칙과 기준이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