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 복원 비리’ 신응수 대목장 기소의견 檢 송치
‘문화재 복원 비리’ 신응수 대목장 기소의견 檢 송치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경찰, 국민 기증목 횡령 사실 적발…문화재청 무형문화재 자격 해제 방침
▲ 경찰이 숭례문·광화문 복원 당시 총 책임자인 신응수 대목장이 복원 당시 문화재청에서 지급한 금강송과 국민이 기증한 기증목을 횡령한 혐의로 기소 의견으로 검찰에 송치했다고 밝혔다. ⓒ 뉴시스

숭례문·광화문 복원 당시 총 책임자인 신응수(72) 대목장이 복원 당시 문화재청에서 지급한 금강송과 국민이 기증한 기증목을 횡령한 사실이 밝혀졌다. 뿐만 아니라 문화재 복원공사에 참여하기 위해 신 대목장이 시공업체에 뇌물을 주고 문화재 수리기술자 자격을 불법 임대한 사실도 드러났다.

‘문화재 부실공사’ 의혹을 수사중인 경찰청 지능범죄수사대는 26일 브리핑을 열고 “신 대목장을 목재와 법인 자금을 횡령한 혐의로 입건해 기소 의견으로 검찰에 송치했다”고 밝혔다.

경찰에 따르면 신 대목장은 지난 2008년 4월 광화문 복원용으로 문화재청이 공급한 금강송 4본을 자신이 운영하는 목재소로 빼돌리고 다른 나무로 대체해 공사에 사용했다. 뿐만 아니라 2012년 5월에는 숭례문 복원용으로 국민들이 기증한 기증목 154본을 숭례문이 아닌 경복궁 수라간 복원 공사 등 자신이 공사 책임을 맡고 있는 다른 공사시설에 임의로 사용했다.

특히 신 대목장이 빼돌린 문화재청 공급분 금강송 4본은 시중에서는 구입이 불가한 고급형 관급 목재로 한 본당 1500만원을 호가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신 대목장은 이같은 혐의에 대해 경찰 조사에서 “문화재청으로부터 공급받은 금강송을 다른 공사에 쓰기 위해 빼돌리고 기존에 갖고 있던 다른 목재를 사용했다”고 진술했으나 국민 기증목을 빼돌린 혐의에 대해서는 “내가 지시하거나 보고받은 것이 아니다”라며 부인하고 있다.

아울러 경찰은 이번 조사에서 신 대목장이 2012년 1월 경복궁 복원 공사 참여 당시 모 시공업체 대표 김 모(75)씨에게 2500만원을 주고 문화재수리기술자 자격증을 불법 임대한 사실도 드러났다고 전했다.

뿐만 아니라 경찰은 이 과정에서 김 씨가 신 대목장이 운영하는 강릉 모 문화재수리업체 등 하도급 업체 5곳과 합심해 5억여원의 공사비를 횡령하고 23차례에 걸쳐 문화재 수리기술자 자격을 불법 대여해 총 6억 7000여 만원의 부당이득금을 얻은 사실을 밝혀냈다.

경찰 관계자는 이같은 사실을 밝히면서 “문화재 공사에 참여하는 일부 장인이 독점적 지위에서 업계를 장악하는 등 문화재 수리 업계 비리가 만연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한편 문화재청은 사법기관에서 신 대목장에 대한 혐의를 유죄로 판단 할 경우 신 대목장의 중요무형문화재 지정을 해제·환수 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문화재청은 26일 신 대목장에 대한 경찰의 브리핑 직후 보도자료를 발표하고 “문화재 복원 비리의혹 관련자에 대해 관련 규정에 따라 엄중한 책임을 묻고 문화재 행정 전반에 걸쳐 투명성과 청렴성을 제고하는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 시사포커스  / 유아름 기자 ]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