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파주와 백령도, 강원도 등에서 잇따라 발견된 무인기가 지방선거를 앞두고 북풍 논란의 뇌관으로 떠오르고 있다. 지난 2010년 천안함 사태가 북풍 논란의 핵이었다면, 이번엔 무인기가 유사한 시기 같은 역할로 부상하고 있는 것이다.
발견된 무인기에 대해 정부는 이미 북한 소행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지방선거를 앞두고 안보불안이 조성됨으로써, 보수결집 또는 보수투표 성향이 나타날 가능성이 커진 것이다.
하지만, 이에 대해 새정치민주연합 정청래 의원은 “북한에서 보낸 게 아닐 가능성이 크다”며 정면 반박하고 나섰다. 지방선거를 앞두고 요동칠 조짐을 보이고 있는 북풍 차단에 나선 것이다.
정 의원은 11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외교통일위원회 전체회의에서 북한 무인기에 적혀 있는 글씨를 지적하며 “우리 아래아 한글이다. 북한 무인기라는데 왜 아래아 한글 서체가 붙어 있느냐”며 이 같이 주장했다.
그러면서 “날짜가 아니라 ‘날자’라고 쓰여 있어 북한 것이라고 하는데 북한은 보통 ‘광명 납작체’를 쓴다”며 “코미디다. 북한은 연호를 보통 사용하는데 이것은 그것도 없다”고 지적했다.
류길재 통일부장관도 정 의원의 이 같은 지적에 “북한에서 보통 쓰는 서체는 아니다”고 답했다. 그러나 “그런 것을 갖고 북한 것이냐 아니냐를 따지기는 어려울 것 같다”고 덧붙였다.
정청래 의원은 이밖에 일련번호와 관련해서도 “‘S33109’ 이런 게 붙어 있는데, 보통 북한-은하 이렇게 시작한다”고 일반적인 북한제와 다르다는 점을 거듭 지적했다.
또, “북한 무인기라면 왕복 270Km를 날아야 하는데, 그렇게 하려면 5Kg의 가솔린을 탑재해야 한다”며 “12Kg짜리 무인기가 5Kg 배터리를 장착하면 뜰 수가 없다고 한다”고 의혹을 제기했다.
이 같은 근거들을 들어 정 의원은 “북한 무인기라고 소동을 벌인 것에 대해 누군가 응당한 책임을 져야할 날이 올 것”이라며 정부를 겨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