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홍콩 ‘우산혁명’ 시위대와 홍콩 정부가 공식 회담을 갖기로 합의했다.
정부와 시위를 주도하는 학생 대표들이 6일(현지시각) 두 번째 준비 만남에서 주요 원칙에 합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원칙은 양쪽은 상호 동등한 입장에서 여러 차례 회담을 가지며 정부는 협상 결과를 반드시 이행해야 한다는 것으로 요약된다.
양쪽은 예비 접촉 후에 가진 기자회견에서 오는 12일 이전에 공식회담을 갖기를 기대하며 이는 공개적으로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의제와 장소는 추후 비공식 접촉을 통해서 결정된다.
홍콩대학생연합체인 ‘홍콩전상학생연회’의 레스터 셤 부비서장은 6일 정부와 면담 후에 ‘우리는 분명한 입장을 갖고 있다’고 기자들에게 말했다고 <불룸버그통신>이 7일 전했다.
그는 “우리가 회담을 통해 결과를 얻기 전까지 정부가 세 곳의 시위 현장을 강제진압 해서는 안 된다고 요청했다”고 말했다.
정부 라우콩와 대표는 ‘매우 좋은 논의를 가졌다’고 만족감을 표했다. 그러나 ‘홍콩전상학생연회’의 알렉스 초우 비서장은 7일 문자메시지를 통해 홍콩정부와의 회담을 통해서 행정장관 선거에 대한 민주화 요구가 충족될지 “아주 낙관적인 것만은 아니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쵸우 비서장은 “그들(홍콩정부)이 제안할 것을 갖고 있다며 벌써 발표했을 것이다”고 말했다. 2017년 행정장관 선거를 두고 일어난 싸움은 협상 결렬시 시 의회로 넘어간다. 그는 학생들이 더 진전된 행동을 취할 수도 있다고 말했지만 구체적인 언급은 피했다.
지난 주말을 기점으로 시위에 참여했던 시민들의 숫자가 현저히 감소하는 가운데 학생 시위지도부는 참가자들에게 시위 현장을 떠나지 말 것을 요구하며 정부가 강제로 시위를 진압할 경우에는 어떤 협상에도 나서지 않을 것이라고 밝혀왔다.
<알자지라>에 따르면 7일 오전에는 한때 수만 명에 이르렀던 시위대가 수백 명 단위로 줄어들었다. 이는 정부의 강제 진압 시한 예고와 친중국 인사들의 폭력 행위 및 일부 경제생활 보장을 요구하는 여론 악화로 인한 결과로 보인다.
‘우산혁명’으로 알려지면서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는 이번 홍콩 시위는 2017년 홍콩 1인자인 행정장관을 뽑는 선거에서 중국 정부가 후보추천위원회의 심사를 거친 후보자에 한해 피선거권을 갖게 된다는 발표가 나온 이후 격발됐다.
민주주의 지지 단체들은 그런 추천 방식으로는 친중국 인사가 홍콩 행정장관이 될 수밖에 없다며 반발하고 나섰다. 이들은 더욱 개방적인 선거 시스템을 원하며 현재 렁춘잉 행정장관의 사퇴를 요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