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루 3~4잔 정도의 커피 섭취가 조기관상동맥질환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3일 성균관의대 강북삼성병원(원장 신호철) 코호트 연구소(장유수 교수, 최유니 연구원)에 따르면, 심장질환이 없는 무증상 성인남녀 약 2만5천여 명(남자 2만1천 명, 여자 4천 명)을 대상으로 평소 커피 섭취량에 따른 관상동맥 석회화 정도를 비교한 결과 하루 세 네잔의 커피 섭취가 건강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실험대상을 커피를 전혀 마시지 않는 군과 하루 1잔 미만, 1잔이상~3잔 미만, 3잔 이상~5잔 미만, 5잔 이상 마시는 군 이렇게 총 군으로 나눠 비교했다.
연구소는 분석 결과, 커피섭취량과 관상동맥 석회화 수치는 하루 3잔 이상~5잔 미만(1잔 종이컵 기준, 약 150㎖)의 커피를 마시는 군이 전혀 마시지 않는 군에 비해 조기관상동맥질환 비율이 20% 낮았고 관상동맥석회화 수치비는 41% 감소했다고 전했다.
반면 5잔 이상 마시는 군에서는 이 같은 감소 효과가 보이지 않았다고 전해져 하루 3,4잔의 커피 섭취가 조기관상동맥질환 예방에 가장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커피가 심혈관계질환의 예방에 어떻게 도움을 주는지는 아직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커피가 심혈관 질환의 주요 위험인자인 당뇨병 위험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분석했다.
장 교수는 이 실험에 대해 "무증상 성인에게 하루 5잔 미만의 커피섭취는 조기 관상동맥질환 예방에 어느정도 도움이 될 가능성이 있지만 그렇다고 커피를 마시지 않는 사람들에게 음용을 권고할 정도는 아니"라며 "과도한 커피 섭취는 심장부정맥과 같은 카페인 부작용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는 만큼 주의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시사포커스 / 최민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