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완종 전 경남기업 회장이 정치권 주요 인사들에게 금품을 전달했다는 의혹, 이른바 ‘성완종 리스트’를 수사중인 검찰은 17일 휴대전화, 수첩 등 방대한 분량의 압수물에 대한 1차 분석을 마쳤다고 밝혔다.
앞서, 수사팀은 경남기업 본사, 비자금 조성 과정에 동원된 관계사 3곳, 성 전 회장 측근 인사들의 주거지를 압수수색한 바 있다.
성완종 리스트 특별수사팀(팀장 문무일 검사장)은 이날 수사와 관련해 휴대전화 21개, 디지털증거 53개 품목, 수첩·다이어리 34개, 회계전표 등 관련 파일철 257개, 기타 파일철 16개를 압수, 대부분 기초 분석 작업을 마쳤다고 밝혔다.
또한 성 전 회장의 차량에 장착돼 있던 고속도로 하이패스 단말기도 입수해 이용기록을 복원·분석하고 있다.
특별수사팀은 정밀 분석이 필요한 디지털 증거물은 대검찰청 국가디지털포렌식센터(DFC)로 보내 분석결과를 넘겨받는 대로 수사에 필요한 자료로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파일 한개 당 수십만쪽 분량의 방대한 자료가 들어 있는 경우도 있기에 최종 분석에는 시일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또한 압수수색 현장에서 확보하지 못한 자료에 대해서는 임의제출 형식으로 넘겨받아 분석하고 있다.
이날 한 언론이 보도한 여야 유력 정치인 14명에 대한 불법 로비 자금 전달 내역이 담긴 ‘장부’와 관련, “현재까지 압수품 목록에는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고 밝혔다.
또한 홍준표 경남지사를 다음주 소환할 것이라는 일부 보도와 관련해서도 “소환을 요청한 사실이 없다”고 했다.
한편, 특별수사팀 관계자는 이완구 총리에 대한 수사 방향 등에 대한 기자들의 질문에 “수사논리대로만 가겠다. 한 칸, 한 칸 채우는 데 주력하고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검찰은 이날부터 디지털포렌식 센터의 복원 결과를 집중적으로 분석한 뒤 조만간 사건 관련자들을 잇달아 소환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