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아자동차가 지난 1분기 30% 이상 감소한 영업이익을 기록한 가운데, 바닥을 찍고 2분기부터 상황이 개선될 것이라는 ‘바닥론’이 조심스레 제기되고 있다.
24일 기아차는 1분기 매출액 11조1777억원, 영업이익 5116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매출액은 지난해 1분기에 비해 6.3%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무려 30.5%나 감소했다. 당기순이익은 9032억원으로 3.1% 증가했다.
기아차는 1분기 영업이익이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크게 감소한 것에 대해 러시아 루블화 폭락과 유로화 하락 등 원화 강세의 영향으로 분석했다. 기아차는 “다만 해외 주요시장의 판매 확대와 고수익 차종의 비중 확대 등을 통해 수익성을 방어할 수 있었다”고 나름 선방했다는 평가를 내놨다.
시장에서도 영업이익이 크게 감소한 것에 대해 ‘바닥론’이 제기되고 있다. 고태봉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기아차는 현대차에 비해 원·달러 환율 민감도가 2배 정도 높다”며 “1분기 원·달러 환율의 상승 효과로 예상보다 좋은 실적을 낸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시장이 예상한 1분기 영업이익은 5000억원 수준이었다. 일각에서는 바닥을 확실히 찍었다는 ‘바닥론’도 제기된다.
기아차의 1분기 판매량은 지난해 1분기보다 0.5% 증가한 69만693대로 나타났다. 국내 시장 판매는 지난해 출시한 신형 카니발 및 쏘렌토의 판매 호조가 지속되며 전년 대비 6.0% 증가했다.
미국 시장에서는 신형 쏘렌토 투입과 카니발 판매 본격화 등 레저차량(RV)을 중심으로 판매가 늘면서 전년 대비 6.1% 증가했고, 유럽에서도 스포티지 판매 호조와 쏘렌토 신차 효과로 7.6% 늘었다. 중국시장에서도 3공장 물량 증대에 따른 K3 판매 성장과 현지 전략 모델인 K4, 소형 스포츠유틸리티 차량(SUV) KX3 판매 확대로 3.0% 증가했다.
기아차는 “글로벌시장에서 쏘렌토, 카니발 등 신차가 본격 판매되고 러시아를 제외한 해외 법인의 판매량은 모두 늘었다”며 “러시아 물량 축소 노력이 효과를 거두면서 판매 대수 감소에도 불구하고 수익성이 향상됐다”고 덧붙였다.
기아차 측은 2분기부터 실적이 개선될 것이라며 “지난해 출시돼 올해부터 세계 시장에 본격적으로 판매되고 있는 신형 카니발과 쏘렌토는 2분기 이후로도 인기가 지속되고, 3분기에는 기아차의 핵심 주력차종인 K5와 스포티지 신차가 출시되면서 판매는 더욱 확대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 시사포커스 / 김종백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