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3년간 50% 이상의 점유율을 지켜온 SK텔레콤이 지난 3월 50%선이 붕괴된 데 이어 4월에는 점유율이 더 떨어진 것으로 나타나 통신업계의 지각 변동이 일어날 조짐이 감지된다.
1일 미래창조과학부에 따르면 지난달 28일 기준 SK텔레콤의 가입자 수는 2837만8820명으로 전달 대비 2만2256명이 늘었지만, 시장점유율은 오히려 0.1%p 감소한 49.5%로 집계됐다.
반면 KT는 가입자 수 6만9030명 증가와 더불어 시장점유율이 0.04%p 상승한 30.53%를 기록했다. LG유플러스는 KT와 비슷한 가입자 수 증가를 보이며 점유율이 0.07%p 상승, 20%의 점유율을 기록했다.
SK텔레콤으로서는 2개월 째 점유율이 50%를 밑돈 것도 충격적이지만, 13년여 만의 50%선이 붕괴된 후 점유율이 더 하락했다는 점을 더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다.
지난 3월 50%선 붕괴의 이유에 대해 SK텔레콤은 “장기 미사용 선불전화 등에 대한 선제적 직권 해지 조치로 가입자 수가 줄었다”고 해명했지만, 4월에 점유율이 오히려 더 떨어졌다는 점은 이 같은 해명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더 심각한 문제는 SK텔레콤이 방송통신위원회로부터 영업정지 7일 결정을 받고 시행을 앞두고 있다는 점이다. 비록 방통위의 알 수 없는 시행 시기 결정 연기 방침에 시기가 확정되지는 않았지만, 50%선 회복이 쉽지 않다는 점이 증명된 만큼 7일 간의 영업정지까지 시행되면 점유율이 도미노처럼 빠질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렵다.
특히 단통법 시행 이후 시장이 크게 위축된 상황에서 KT와 LG유플러스가 공격적인 마케팅으로 가입자 유치에 열을 올리고 있는데도 SK텔레콤은 영업정지 7일의 시행 시기를 유리하게 이끌기 위해 방통위의 눈치를 보며 공격적인 보조금 책정에 나서지 못하고 있다.
실제로 삼성전자의 갤럭시S6와 LG전자의 G4의 보조금 책정에서도 KT와 LG유플러스는 법적 상한선인 33만원에 가까운 보조금을 최고가 요금제 기준으로 초반부터 잇따라 책정하고 있지만, SK텔레콤은 보조금 한도를 30만원도 넘기지 못하고 있다.
결국 SK텔레콤이 50%선 붕괴의 여파를 회복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시일이 걸릴 것으로 전망된다. 일각에서는 이번 기회를 계기로 오랜 시간 5:3:2의 구조가 고착화돼 있던 것이 무너질 수 있는 관측도 조심스럽게 제기되고 있다. [ 시사포커스 / 김종백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