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기 통합 논의 재개됐지만 신경전 여전

조기 통합 대화를 재개한 하나금융과 외환은행 노조가 2.17 합의서의 수정안을 놓고 신경전을 벌이고 있는 가운데, 외환은행 노조 측이 하나금융의 제시안을 결국 반송했다.
2일 금융권에 따르면, 외환은행 노조는 최근 하나금융 측이 외환은행 노조의 요구에 따라 ‘수정안’이라며 제출한 합의서에 대해 “조기 합병 시한을 올해 9월말로 못박는 등 수정안으로 볼 수 없다”며 반송한 것으로 알려졌다.
노조는 “사측의 제시안은 2.17 합의서의 기본 정신을 무시한 것”이라며 “특히 조기합병 시한을 올해 9월말로 못박은 것은 도저히 진정성 있는 자세라고 볼 수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하나지주는 다시 한 번 숙고와 결단을 거쳐 진정성 있는 ‘2.17 합의서 수정안’을 제시하라”고 덧붙였다.
앞서 외환은행 노조는 법원의 통합 논의 중단 결정 이후 2개월 만에 재개된 대화에서 하나금융 측에 대안 제시를 요구했다. 이에 하나금융 측은 환영의 뜻을 밝히며 수정안을 제시했지만, 외환은행 노조는 2.17 합의서의 기본 정신이 모두 무시돼 수정안이 아니라 새 합의서나 다름 없다며 하나금융 측을 비판했다.
하나금융 측은 “외환은행 노조 측이 제시안을 수령하긴 했다”면서 진지하게 검토해 줄 것을 기대했지만, 결국 외환은행 노조는 이마저도 반송한 것으로 알려졌다.
2.17 합의서는 5년간 외환은행의 독립 경영을 보장하고 통합 논의를 5년 이후에 하자는 내용을 골자로 하고 있다. [ 시사포커스 / 김종백 기자 ]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