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금융·외환노조, ‘2.17 합의서’ 수정으로 가닥
하나금융·외환노조, ‘2.17 합의서’ 수정으로 가닥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외환 노조 수정안 요구에 하나금융 긍정적 반응
▲ 최근 대화를 재개한 하나금융그룹과 외환은행 노조가 지난 2012년 작성된 2.17 합의서를 조만간 손 볼 것으로 보여 귀추가 주목된다. 사진 / 홍금표 기자

조기통합을 놓고 갈등을 빚고 있는 외환은행 노동조합과 하나금융그룹이 최근 2달여 만에 대화를 재개한 가운데 통합 일정 등이 담겨 있는 ‘2.17 합의서’를 손볼 것으로 보인다.

지난 20일 외환은행 노조는 하나금융·외환은행 경영진과 대화를 나누고 난 후 2.17 합의서 수장안을 제시하라고 공식 요구했다.

이날 외환은행 노조는 보도자료를 통해 “재개된 이번 대화가 상호 시각차만 확인하는 가운데 법원을 의식한 보여주기식 협상에 그칠 것이 우려된다”면서 수정안 요구 이유를 밝혔다. 또한 노조는 2.17 합의서의 재검토를 요구하는 지주 측이 어떻게 수정하기를 원하는지 구체적인 내용을 밝혀달라고 요구했다.

지난 2012년 하나금융이 사모펀드 론스타로부터 외환은행을 매입할 당시 금융위원회의 입회하에 하나금융지주와 외환은행 노동조합 간에 체결된 2.17 합의서는 최소 5년간의 독립법인 유지, 독립경영 보장, 구조조정 금지, 근로조건 개선 등 총 6개조 12개항의 합의사항을 담고 있으며 신의성실의 원칙에 따라 합의내용을 성실하게 이행하기로 명시한 바 있다.

특히 통합과 관련해서는 “외환은행이 하나금융지주 자회사로 편입된 후 별도 독립법인으로 존속되며, 5년 경과 후 상호 합의해 하나은행과 합병 등을 협의할 수 있다”고 명시돼 있다.

이에 하나금융지주는 “외환은행 노조의 요구에 대해 긍정적으로 검토해 보겠다”며 “조만간 수정안을 제시할 것”이라고 공식적으로 밝혔다.

이로써 양측은 이번에 재개된 대화에서 2.17 합의서의 수정안을 도출하는 데 주력할 것으로 보인다. 경영진과 노조 간 대화에서 2·17 합의서 수정에 의견이 모아진 건 이번이 처음이다. 그간 하나금융 측과 노조 측은 통합 논의를 두고 갈등을 빚고 있을때는 물론이고, 앞서 합의문 등을 도출하면서도 큰 틀에서의 취지에서 합의했을 뿐 구체적인 수정안 도출 노력을 기울인 적은 없다.

한편 양측은 지난 14일 하나금융측의 요청으로 두 달여 만에 극적으로 대화를 재개했다. 측의 대화는 지난 2월 4일 법원이 합병 논의를 6월말까지 중단하라는 가처분 결정을 내리면서 2개월 이상 중단된 상태였지만, 이후 지난 3일 하나금융 측이 제출한 가처분 결정 이의신청 심리에서 재판부가 노사의 대화를 전제로 재심의할 뜻을 밝히면서 양측이 진지하게 대화에 임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재판부의 재심의는 오는 5월 15일로 예정돼 있다. 따라서 앞으로 한 달여간 남은 기간동안 노사의 대화 양상은 이전의 팽팽한 대치상황과는 다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 시사포커스 / 김종백 기자 ]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