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누리당 유승민 원내대표는 20일 논란이 일고 있는 ‘국회 특수활동비’에 대해 “이 문제를 국회 차원에서 어떻게 개선해 나갈지 운영위 차원에서 어떤 제도 개선책을 마련할지 진지하게 논의를 하겠다”고 밝혔다.
유 원내대표는 20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중진연석회의에 참석, “국회 차원의 의장, 부의장, 원내대표, 각 상임위원장, 특위 위원장의 특수활동비에 대해 우리 당 소속의 광역단체장과 야당 소속 전 상임위원장의 유용 문제가 불거졌다. 거기에 대해 국민적 분노가 크다”며 이같이 말했다.
유 원내대표는 이어 “의장 차원에서 할 일과 국회 운영위 차원에서 규칙이나 여러 가지 규정을 만드는 그런 일들에 대해 논의해 적절한 시기를 말씀드리겠다”고 했다.
최근 박근혜 대통령이 강조했던 ‘페이고 도입’에 대해선 “3년간 세수 부족이 22조2000억원이며 올해도 상당 규모의 세수 부족이 예상된다”며 “대통령이 재정 건전성에 대해 우려한 것은 당연한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현재 운영위원회에 페이고 관련 법안이 계류돼 있다”며 “이 모든 것을 운영위에서 진지하게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앞서, 박 대통령은 지난 13일 “입법을 통한 무분별한 지출증가를 막기 위해서는 재정을 수반하는 법률 입안 시 재정조달 방법도 함께 제출하도록 의무화할 필요가 있다”며 페이고 제도 도입을 촉구한 바 있다.
유 원내대표는 공무원연금개혁에 대해선 “매우 어려운 상황에 처해 있지만 협상의 노력을 계속 하겠다”고 강조했다.
유 원내대표는 “특위 여야 간사였던 조원진, 강기정 의원이 협상을 진행하고 있으며 김용하, 김연명 교수의 의견도 충분히 청취하고 있다”며 “두 간사의 협상 결과를 본 이후 여야 원내대표 간 협상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야당이 국민연금, 기초연금 등 공적연금 강화에 입장을 정리해주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유 원내대표는 또 “어떠한 경우에도 미리 결론을 내릴 수는 없다는 우리 입장과 국회 특위와 사회적 기구에서 공무원연금 개혁에 관한 모든 것을 진지하게 논의해보자는 우리 입장은 분명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