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황우여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과 관련 학교 현장에 60억을 추가 지원해 방역에 힘쓰며 적극적 대처에 나서겠다고 말했다.
16일 황 부총리는 정부서울청사에서 메르스와 관련해 지난 15일 전국 시도교육감들과 의논한 결과 이 같이 결정했다고 밝혔다.
황 부총리는 “학교 메르스 대응을 위해 예산 202억원을 이미 지급한 가운데 체온계 확보 등을 위해 보충예산으로 60억 정도를 더 추가지원 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새롭게 지원된 금액은 학교의 발열 검사기 구입 등에 쓰일 예정이다.
학생과 교직원은 ‘메르스 학교 대응 매뉴얼’을 철저히 지키고 손 씻기, 기침예절을 비롯해 숙면과 과로방지로 면역력을 높이는 등 개인위생에 충실키로 했다.
또 학급 당 한 개씩 체온계를 두어 매일 모든 학생을 대상으로 발열검사를 실시하며 높은 위험도를 보일 땐 1회 이상 실시키로 했다. 열이 있는 학생은 보건 당국과 협의해 귀가 조치시키며 담임 및 보건교사의 지도를 받기로 했다.
기침, 발열 등 메르스 감염 의심 증세가 있는 학생은 자가 격리하며, 학교는 학생에 대한 보호 조치를 취한다. 감염병 의심 증세로 학교에 오지 않는 경우에는 결석처리를 하지 않기로 했다.
또 학교는 메르스 관련 감염병 계기교육을 진행하고,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떠도는 정보보다 보건당국의 공식적인 정보를 신속하게 전달키로 했다.
중학생 이하의 병실 출입 자제, 병문안에 관한 생활문화도 개선키로 했다.
황 부총리는 “학교에서의 방역은 그 자체가 교육의 일환”이라며 “막연한 두려움이 아니라 정확한 지식을 숙지하고 방역조치를 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말했다. [ 시사포커스 / 오현지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