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황교안 국무총리 후보자 임명동의안이 18일 국회 본회의에서 가결됐다.
여야는 이날 오전 10시 40분 열린 국회 본회의에서 황 후보자 임명동의안에 대해 재적 278명, 가결 156표, 부결 120표, 기권 2표로 처리했다.
본회의는 당초 이날 오전 10시에 열릴 예정이었으나 새정치민주연합의 의원총회가 늦게 끝나는 바람에 40분 가량이 지연됐다. 새정치연합은 의총에서 본회의에 참여키로 결정했다. 하지만 정의당은 불참했다.
본회의 표결에 앞서 여야는 의사진행발언을 통해 찬반토론을 벌였다. 새정치연합 김광진 의원은 “박근혜 정부가 출범한 지 2년 반이 지나가는데 이 기간의 총리 수난사가 계속 됐다”며 “그동안 낙마됐던 모든 후보의 문제점을 모아 종합적으로 갖고 있는 후보가 황교안 후보”라고 주장했다.
김 의원은 또 “후보자는 정확한 자료 제출하지 않았다”며 “병역 면제와 관련, 불법이 아닐 수 있다. 정상적 병역면제 밝힐 소임은 본인이 있다”고도 했다.
그러면서 “여야와 국민이 동의하고 공감할 수 있는 총리를 다시 뽑는 것이 우리의 책무”라면서 여당 의원들을 향해 반대표를 던져 달라고 촉구했다.
이에 맞서 새누리당 권성동 의원은 “철저한 검증을 마쳤다”며 “이를 토대로 했을 때 총리로서의 자질, 능력, 도덕성에 관해서 특별한 문제가 없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그는 “TV를 통해서 청문과정 지켜본 국민 대다수도 저와 같은 견해 갖고 계시리라고 판단한다”고 했다.
권 의원은 또 “청문회에서 정쟁을 방지하기 위해 야당의 요구대로 청문회 기간 늘렸고 증인, 참고인을 다 채택했다. 야당의 요구를 대폭 수용했다”고 말했다.
권 의원은 “자료 제출 문제로 검증 제대로 안됐다고 주장한다. 야당은 폐기된 자료까지도 제출 요구했고 수사 재판중인 자료까지 요구했고 이를 거부한다고 해서 자료제출 미흡 주장하고 있다”며 “초법적인 요구에도 후보자 측은 최대한 협조했다. 본인 검증과 무관한 자료까지 성실하게 제출했다”고 야당의 지적을 반박했다.
한편, 이날 황 후보자 임명동의안이 가결되면서 지난 4월 27일 이완구 전 국무총리의 사퇴로 이후 52일간의 총리 공백 사태가 해소됐다.
황 후보자는 이날 박근혜 대통령으로부터 임명장을 받게 될 것으로 보인다. 황 후보자는 오는 19일 경제 분야 대정부질문부터 총리 자격으로 국회에 데뷔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