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주요 연구기관장들이 메르스 사태가 세월호보다 경제적 파급효과가 크다며, 이로 인해 우리 경제성장률이 0.2%p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찬우 기획재정부 경제정책국장은 19일 "작년에 세월호가 0.2%p 성장률을 하락시켰다는 한 기관의 연구가 있는데 세월호보다 메르스로 인한 경제적 파급효과가 더 클 수 있다는 의견들이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메르스 사태가 조기 종식되면 0.1%p 정도에 그칠 것이란 의견도 나왔다"며 "현재로서는 좀 더 상황을 지켜보다는 의견"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연구기관장들이 1분기까지 내수 중심의 회복 흐름이 있었지만 2분기부터는 메르스로 인한 경제 충격이 있다고 평가했다"며 "소비나 관광, 서비스산업에 미치는 영향이 현재 진행형이라는 언급"이라고 부연했다.
이어 "세계경제 동향에 대해 대외경제연구원과 국제무역연구원에서 세계경제 상황이 녹록치 않은 상황이라고 평가했다"고 전했다. 그는 "개도국과 선진국의 성장 격차가 벌어지고 중국의 성장둔화가 생각보다 빨라 미국과 유럽지역이 개선되더라도 작년 수준에 머무를 것이란 설명"이라고 말했다.
이 국장은 “경기보완을 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만 나왔다. 정부에 맡기자는 의견이 주를 이뤘다”면서 “다만, 과거의 전통적인 방식에서는 벗어나야 한다는 의견이 있었다. 가급적이면 실제 경기에 직접적인 효과를 주는 새로운 방식을 취해야 한다는 의견”이라고 말했다.
한편, 간담회는 최경환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이일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장, 조동철 한국개발연구원장, 박형수 한국조세연구원장, 방하남 한국노동연구원장, 한상완 현대경제연구원장, 신성환 한국금융연구원장, 김도훈 산업연구원장 등 13개 연구기관장들이 참석했다. [시사포커스 / 성수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