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관계 ‘훈풍’ 부나…위안부 이견 여전
한일 관계 ‘훈풍’ 부나…위안부 이견 여전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아베 총리 8·15 종전 70주년 담화 내용 따라 정상회담 성사
▲ 한·일 국교정상화 50주년을 맞아 한일 양국 정상이 관계 개선에 한 뜻을 모은 가운데, 위안부 문제 해결이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청와대

한·일 국교정상화 50주년을 맞아 박근혜 대통령과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서울과 도쿄에서 개최한 기념행사에 교차참석하는 모습을 통해 꽁꽁 얼어붙은 한·일 관계가 급진전하는 모양새다.

다만 양국간 최대 현안인 일본군 위안부 문제 등 과거사 문제에 대해서는 이견이 팽팽히 맞서면서 실질적인 관계개선이 얼마나 이뤄질지 우려의 시각도 제기된다.

앞서 박 대통령은 22일 서울 소공로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린 한·일 국교정상화 50주년 기념 리셉션에서 “신의보다 의지할 만한 것은 없다는 말처럼 양국 국민들 간의 신뢰와 우의를 쌓아가며 나아가는 것 또한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지난 50년간 우호의 역사를 보고 앞으로 50년을 전망하며 양국 간 새로운 시대를 만들어가자”고

이어 박 대통령은 “올해는 두 나라가 미래를 향해 나아갈 수 있는 역사적 기회”라며 “과거사의 무거운 짐을 화해와 상생의 마음으로 내려놓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같은 날 일본 도쿄 셰러턴 미야코 호텔에서 주일 한국대사관 주최로 열린 리셉션에 참석한 아베 총리는 “한·일 국교정상화 50주년의 테마는 ‘함께 열자 새로운 미래’”라며 “앞으로 50년을 내다보며 양국 간의 새로운 시대를 만들어 나가자”고 강조했다.

양국 정상은 과거보다는 미래에 방점을 두고 보다 나은 관계로 나아가자는 뜻을 같이 했다. 이에 따라 양국 관계 개선에 탄력이 붙어 오는 9월 정상회담이 개최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아직은 양국 모두 신중론을 펼치고 있는 가운데, 아베 총리의 8·15 종전 70주년 담화 내용에 따라 정상회담 성사 여부가 달렸다는 게 지배적인 관측이다.

특히 양국은 여전히 한·일 갈등의 최대 현안인 위안부 문제에서 타협점을 찾지 못하고 있다. 일본이 요구하고 있는 위안부 소녀상 철거 문제의 경우 우리 정부는 민간차원의 문제로 규정하면서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한편 일본 근대산업시설의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 문제는 이번 한일 외교장관회담에서 일본은 조선인들의 강제징용이라는 역사적 사실을 적시한다는 사실상의 합의가 이뤄진 것으로 전해졌다. [시사포커스 / 김지혜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