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형표 보건복지부 장관은 23일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사태와 관련, 초기 병원 공개를 하지 않은 것에 대해 본인이 결정한 것이라고 밝혔다.
문 장관은 이날 국회에서 진행된 교육·사회·문화 분야 대정부질문에서 새정치연합 남인순 의원이 “정부가 준수했다고 하는 WHO(세계보건기구) 의사소통 가이드라인 원칙에는 신뢰관계 구축, 신속한 발표, 투명한 정보공개 등이 있지만 정부는 이를 따르지 않았다. 초기 병원 공개를 하지 않도록 한 것은 누구의 결정이냐”고 이같이 답했다.
문 장관은 “병원 상황 등에 따라 공개 등에 대한 판단이 다를 수 있다”며 “의료계, 병원, 전문가들의 분석을 통해 상황에 맞춰서 판단했다”고 즉답을 피하기도 했다. 하지만 남 의원이 “최종결정을 내린 사람이 누구냐”고 재차 묻자 “제가 (결정했다)”라고 답했다.
문 장관은 또 메르스 사태가 이례적으로 빠르게 확산한 이유로는 국내 병원문화를 언급했다.
문 장관은 “한국에서 예외적으로 메르스가 크게 확산된 것은 국내 병원 문화가 원인”이라면서 “병원 쇼핑 문화, 밀집한 응급실 운영, 병문안, 간병문화 등으로 병원 내 확산을 통제하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문 장관은 또 “메르스에 대한 정보가 부족했고, 감염병 전문인력 확보 미흡도 확산의 원인이 됐다”고 덧붙였다.
한편, 문 장관은 자신의 사퇴 요구에 대해선 책임을 회피할 생각이 없다고 했다. 그는 새정치연합 안철수 의원이 “자진 사퇴 하실 의향이 없느냐”고 묻자 “어떤 경우에 어떤 이유로도 책임을 회피할 생각은 전혀 없다”며 “다만 제가 해야 될 일은 메르스 사태를 최선을 다해 종식시키고 속히 마무리 짓는 일이 저의 임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문 장관은 박근혜 대통령이 나섰어야 한다는 안 의원의 지적에 대해선 “(메르스 관련) 170명 이상의 모든 환자가 병원에서 발생해 기본적으로 병원 감염으로 판단한다”며 “(때문에) 담당 부서인 복지부가 (총괄하는 것이) 맞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