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5일 경기도 안산시는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 피해 가구를 대상으로 긴급생계비와 의료비 등을 지원하는 ‘메르스 피해가구 무한돌봄서비스 종합계획’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각 부서별로 추진되는 이번 종합계획의 주요 내용은 긴급생계비와 진료비 지원, 긴급돌봄서비스 제공, 지방세․보육료지원, 자가 격리자 심리지원, 정신과적 치료비 지원, 통합사례관리 추진, 생필품 제공 등을 골자로 하고 있다.
긴급생계비 지원은 관리하고 있는 보건소 격리자 명단을 통보받아 복지정책과 긴급지원담당자의 유선 상담을 통해 긴급생계 급여 1개월분을 가구원수에 맞춰 4인 가구 기준 1105600원으로 책정됐다.
또 메르스 의심 및 확진 환자에 대해 격리 입원일로부터 퇴원 일까지 메르스 입원 및 진료비(본인부담금)를 지원하고, 의료기관이 신속한 환자 진료를 할 수 있도록 보건소의 지급 확인을 통한 사후 정산∙지원 방식으로 진행할 계획이다.
그리고 시는 가족의 격리와 입원으로 인해 돌봄이 필요한 아동과 노인 및 장애인에겐 식사 등 돌봄서비스를 제공하고 해당 가정의 실태를 파악해 통합사례관리를 추진한다. 메르스 확진자와 격리자에는 지방세 납부 기한을 연장하거나 징수유예하고, 어린이집을 다니는 아동이 메르스로 결석할 경우 출석을 인정해준다.
이 밖에도 자가 격리자에게 필요한 생필품과 응급의약품을 제공하고, 심리적 불안과 소외감을 해소할 수 있는 심리지원도 병행한다.
이성운 복지문화국장은 “종합계획의 서비스 이외에도 메르스 사태가 안정될 때까지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필요한 서비스를 발굴, 연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시사포커스 / 김영오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