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1일 <글로벌웹진 뉴스로>에 따르면 워싱턴 주미 日대사관 앞에서 일본군 위안부 피해 문제 해결을 위한 수요 집회가 열렸다.
이날 수요집회에는 일본군 강제 동원 위안부 피해자인 김복동(89) 할머니와 한국 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와 워싱턴 정신대문제대책위원회가 참석했다.
김복동 할머니는 “아베 정부는, 자기 일왕 때 일본 군인들 전쟁 치르게 사기를 올려라 해가지고 그 어린애들을 끌고 가서 노예 생활을 시켜놓고 지금까지 나 몰라라 하는 게 말이 안 된다”고 밝혔다.
김 할머니는 “진작 사죄했더라면 이 늙은이가 목숨 걸고 여기까지 왔겠는가”라고 말하며 “전쟁 때 저지른 모든 것을 나 죽기 전에 아베는 깨끗이 청소해라. 죽으려고 해도 억울해서 죽지도 못한다…제 소원은 죽기 전에 사죄하는 걸 보는 것이다”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날 윤미향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 상임대표는 “피해자들의 인권 회복을 위해 한국 정부도 모든 외교력과 행정력을 동원해야 한다”며 “일본 정부는 지난 70년 간 피해자들을 길거리로 내몰았던 책임을 통감하고 성폭력 범죄를 숨겼던 연합국과 국제사회도 책임을 면할 수 없다”고 말했다.
또한 윤 대표는 “모두 함께 힘을 합쳐 피해자들이 우리의 전쟁은 끝났다고 말할 수 있도록 해주기 바란다”고 강조했다.
집회를 마친 후 이정실 워싱턴 정대위 회장은 일본 대사관이 대표 1인 출입을 허용함에 따라 일왕에게 보내는 워싱턴정대위의 성노예 사과 항의 서한과, 한국정대협측이 아베 총리에게 보내는 항의 서한을 전달, 접수시켰다. [ 시사포커스 / 오현지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