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성물산과 제일모직 합병 여부가 결정될 주주총회가 5일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삼성물산 1대 주주인 국민연금이 합병 찬성을 결의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삼성은 막판까지도 우호지분 확보를 위해 총력을 다하고 있다.
12일 업계에 따르면 현재 삼성물산 직원들은 합병 무산 대비책을 의미하는 ‘플랜B’를 배제한채 외국인과 소액 주주들의 찬성 위임장을 받아내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
삼성이 가진 우호지분은 삼성 특수 관계 지분(13.82%)과 KCC의 지분(5.96%), 국민연금 지분(11.21%), 이외 국내 기관이 보유한 지분(11.05%) 등을 합쳐 총 42.04%다.
삼성물산은 건설·상사부문 구분 없이 태스크포스(TF)와 상황실 등을 운영하면서 소액주주 의결권 위임 작업을 독려하고 있고, 다른 삼성 계열사 등에서도 IR 업무를 맡았던 전·현직 직원들을 투입해 지원 사격에 착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양사간 합병은 외국인 투자자와 국내 소액 주주들로부터 12% 이상을 얻어내지 않으면 아직 안심할 수 없는 상황이다. 합병 결의 통과를 위해서는 출석주주의 3분의 2 이상, 전체 주주의 3분의 1 이상의 찬성을 얻어야 한다는 점을 감안하면 아직 안정권이 아니기 때문이다. 만약 삼성물산 주주 참석률이 80%라고 가정하면 최소 53%의 지분을, 70%면 47% 이상의 지분을 확보해야 한다.
양사 간 합병을 강력하게 반대하고 나선 미국계 헤지펀드 엘리엇 매니지먼트를 포함, 반대세력의 지분이 약 12%인 점을 감안할 때 삼성이 나머지 약 46%의 부동층 지분 중 최소 12% 이상을 확보해야 합병 안정권에 들어갈 수 있게 된다.
앞서 지난 10일 엘리엇은 ‘주주들에게 보내는 성명서’를 통해 “삼성물산에 저평가된 가격을 제시한 합병안 반대에 동참해 달라”고 호소한 바 있다.[시사포커스 / 진민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