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통위, 대국민 피싱 예방 문자로 선제 대응
방통위, 대국민 피싱 예방 문자로 선제 대응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민·관 협력해…이통사 고객센터 명의로 발송
▲ 방송통신위원회(이하 방통위)는 보이스피싱 등 통신 범죄가 다양화되고 점차 지능화됨에 따라 27일 ‘대국민 통신서비스 피해예방 문자메시지’를 제공한다고 밝혔다.ⓒ방통위

방송통신위원회(이하 방통위)는 보이스피싱 등 통신 범죄가 다양화되고 점차 지능화됨에 따라 27일 ‘대국민 통신서비스 피해예방 문자메시지’를 제공한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방통위는 한국소비자원, 금융감독원, 경찰청, 한국인터넷진흥원 등이 속해있는 통신서비스 모니터링 유관기관과 협력하여 통신서비스 피해정보를 공유하기로 했다.

SKT, KT, LGU+ 등 이동통신 3사는 광범위한 이용자 피해가 예상될 경우 자사 가입자에게 통신서비스 피해예방 문자메시지를 발송하도록 하는 조기경보 체계를 가동하겠다고 밝혔다.

방통위는 이와 관련하여 “통신서비스 피해발생시 지금까지는 각 기관에서 개별적인 보도자료 배포에 의존하고 있어 이용자의 경각심을 불러일으키는데 한계가 있었다”며 “민·관이 협력해 새로운 유형의 전화사기 등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좋은 사례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대국민 통신서비스 피해예방 문자메시지는 ‘이용자 피해가 심각하게 우려될 경우’, ‘피해규모가 커서 대국민 유의사항 전파가 필요한 경우’ 등으로 발송기준을 한정한다.

또한, 이용자 혼동과 기관 사칭 등을 줄이기 위해 각각의 이통사 고객센터 명의로 발송할 예정이다.

방통위 관계자는 “피해예방을 위한 문자메시지를 귀찮다고 차단하기 보다는 좀 더 주의를 기울이는 계기로 삼아 온 국민이 안전하게 통신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시사포커스 / 김유빈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